동명해사록 ()

목차
관련 정보
동명해사록
동명해사록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시대 문신 김세렴이 통신부사로 일본에 다녀온 후에 작성한 견문록.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문신 김세렴이 통신부사로 일본에 다녀온 후에 작성한 견문록.
내용

2권 2책. 운각활자본(芸閣活字本).

1636년(인조 14) 8월 11일 서울을 출발해 부산과 대마도를 거쳐 그 해 12월 7일 일본 에도(江戶)에 도착, 그 곳에서 20여일간 관백(關白)을 접견하고 이듬 해 2월 25일 부산에 귀환, 3월 9일에 인조를 접견하기까지 모두 6개월에 걸친 일기이다.

그 주요 내용은 회례(回禮)·피로인쇄환(被虜人刷還), 그리고 유황무역(硫黃貿易)의 세 가지와 국서의 일본천황 연호, 왕·대군 등 관직 칭호를 개서(改書) 또는 삭제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일본에 체류하면서 대마도에서부터 대동한 두 중에게 준 시 100여수와 에도에서 일본인 학자 다이라(平成春)와 성리학에 대한 토론을 전개한 사실이 수록되어 있다. 그는 다이라가 왕양명(王陽明)·육구연(陸九淵)의 학문에 심취되어 경사(經史)에는 뛰어난 자질을 보이고 있으나 이학(理學) 공부에는 소홀하다고 평하고 있다.

또 피로인의 쇄환이 뜻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국서의 천황 연호 문제도 원만히 해결되지 못한 채 금·는·의류 등 회례물의 증여와 왕·대군 등의 삭제 정도의 성과밖에 이룰 수 없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더욱이 유황의 무역은 일본측에서 군기(軍器)에 관한 것이라 하여 크게 금하고 있었기 때문에 아예 실현될 수 없는 것이었다.

이 책은 원래 『동명집(東溟集)』에 수록되어 있던 것으로, 맨 앞에 허목(許穆)의 서문이 붙어 있다. 권말에 「문견잡록(聞見雜錄)」이라는 제목으로 다이라(平調與)시말과 일본 관백의 사적을 비롯해 일본의 산천·지리·풍속·관제·복식 등 자신이 직접 보고 들은 바를 수록하였다. 그리고 당시 사행 일원의 명단과 마지막 2면에는 일본 지도가 판각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조선 후기 정묘호란·병자호란 등 급격하게 변화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일본과 화호(和好)의 필요성을 느낀 시기에 이루어진 한·일 관계의 기록이므로 당시의 한·일 관계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해행총재

참고문헌

『해행총재(海行摠載)』
관련 미디어 (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