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유통기 ()

유교
문헌
우리나라 역대 명유들에 대한 사적을 수록한 인명록. 명유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우리나라 역대 명유들에 대한 사적을 수록한 인명록. 명유록.
내용

불분권 2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으며 편자미상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유일본으로 소장되어 있다.

제1책에는 신라·고려 및 조선 초기의 명유와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주계군(朱溪君)의 문인들에 대한 약전(略傳)을 수록하고, 중묘조장교인(中廟朝掌敎人)·기묘피화인(己卯被禍人) 및 이연경(李延慶)이 교유한 인물들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제2책에는 정붕(鄭鵬)·조광조(趙光祖)·김안국(金安國)·김정국(金正國)·유우(柳藕)·노우명(盧友明)·김정(金淨) 및 이연경의 문인들에 대한 약전을 차례대로 수록하고 있다. 이어 부록으로 누락된 인물들을 추가 수록하고 있는데, 모두 조선 중기 이전의 인물들로 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대체로 조선 중기 이전에 편집된 것으로 보이며, 우리나라의 학문적인 연원을 파악하는 데 참고가 된다.

집필자
이민식(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