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주일고 ()

성제원의 동주일고 중 권수면
성제원의 동주일고 중 권수면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학자, 성제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6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의 학자, 성제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6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06년 성제원의 후손 성기운(成璣運)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병선(宋秉璿)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송병준(宋秉俊)과 성기운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3권 1책. 목활자본.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상(卷上)에 부(賦) 1편, 시 70수, 권중(卷中)에 기(記) 2편, 제문 3편, 묘갈명 2편, 권하(卷下)에 부록으로 연보·행장·묘갈명·후지(後識)·축문 5편, 망묘대비지(望墓臺碑誌)·제가기술(諸家記述)·투증시편(投贈詩篇)·사우록(師友錄)·문인록(門人錄) 등이 수록되어 있다.

부의 「벽산불부오부(碧山不負五賦)」와 시의 「배백씨유용강정(陪伯氏遊龍江亭)」 3수 등은 수준 높은 작품일 뿐만 아니라 시대적으로 조선 전기의 것이라는 점에서 연구 가치가 있다. 기의 「유금강산기(遊金剛山記)」·「구룡연신몽기(九龍淵神夢記)」 등은 금강산의 경치를 그린 기행문이다.

제문은 정몽주(鄭夢周)·조광조(趙光祖)·김안국(金安國) 등에 대한 제문이다. 부록의 행장은 전우(田愚)가 쓴 것이며, 축문은 송시열(宋時烈)이 쓴 「상현서원승향축문(尙賢書院陞享祝文)」을 비롯해 각처에 제향된 서원의 승향축문으로 되어 있다.

「제가기술」은 저자에 관해 『국조기요(國朝記要)』·『명신록』·『야사(野史)』·『태곡집(太谷集)』·『택당집(澤堂集)』·『중봉집(重峯集)』·『우암집(尤庵集)』 등에서 모아놓은 기록이다. 「사우록」에는 서경덕(徐敬德)·성수침(成守琛) 등 성제원과 사우 관계에 있던 13명의 행적이 기록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민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