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재먹기

목차
관련 정보
땅재먹기
땅재먹기
민속·인류
놀이
땅에 일정한 범위를 정하여놓고 자기 땅을 넓히고, 상대방의 땅은 빼앗아 가는 어린이놀이.
목차
정의
땅에 일정한 범위를 정하여놓고 자기 땅을 넓히고, 상대방의 땅은 빼앗아 가는 어린이놀이.
내용

‘땅따먹기’·‘땅뺏기’라고도 하며 전라북도에서는 ‘꼭꼬락(둥근 돌치기)’, 제주도에서는 ‘뽐을 땅’이라고도 한다. 두 명 이상의 소녀들이 주로 하나 지역에 따라서는 소년들도 많이 한다. 이 놀이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춥지 않을 때에 주로 하는 야외놀이이다.

놀이방법은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서울·전라북도 등지에서 가장 많이 행하여지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지면에 원 또는 네모를 지름 1∼2m 정도의 크기로 그려놓아 경계를 정해놓고 그 안에서 각각 자기 뼘으로 반원을 그려 자기 집[基地]을 정한다.

가위 바위 보를 하여 이긴 순서대로 먼저 공격을 하는데, 이때 지름 1, 2㎝의 둥글 납작한 돌이나 사금파리로 만든 ‘말’을 가지고 엄지손가락으로 세 번 튕겨서 자기 집으로 되돌아오면 세 번 말이 지나갔던 선(線) 안이 자기 땅이 된다.

너무 세게 튕겨서 자기 집으로 되돌아오지 못하거나 경계선 밖으로 말이 나가면 공격권을 상대방에게 넘겨주게 된다. 이렇게 하여 땅을 많이 차지하는 사람이 이기는 것이다. 이때 공격하는 편이 실수할 때까지 계속 반복하여 땅을 따는 경우도 있고, 한번 집으로 돌아오면 자동적으로 상대방에게 공격권이 넘어가는 경우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지면에 경계를 그어 범위를 정한 다음 말을 사용하지 않고 가위 바위 보를 하여 이긴 사람이 자기 뼘만큼 땅을 재서 차지해나가는 방법이 있다. 많이 차지한 쪽이 이기게 되는데 여기서는 가위 바위 보를 잘 하는 쪽이 유리하게 된다. 가위 바위 보를 하지 않고 지름 1, 2㎝의 둥글 납작한 사기조각이나 돌로 말을 만든다.

교대로 자기 말을 손가락 끝으로 쳐서 상대방 말을 맞히면 한 뼘씩 재어 먹어나가는 방법으로 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가위 바위 보를 계속해서 땅을 둘이서 모두 차지한 뒤에 서로 말을 튕겨서 맞히는 대로 상대방 영토를 따먹어 들어가기도 한다. 자기 말을 손가락으로 튕겨서 상대방 말을 맞혀나갈 때, 두 번 튕겨서 가까이 접근하고 세 번째에 맞히기로 하는 수도 있다.

그러나 세 번째에 맞히면 상대방 땅을 한 뼘 따먹고, 두 번만에 맞히면 두 뼘을, 한번에 맞히면 세 뼘을 재어 먹기도 한다. 이 놀이는 현재 도회지 어린이들에게는 거의 전승이 되지 않고 있다. 흙 냄새를 맡을 수 없는 아스팔트로 둘러싸인 환경과 각종 놀이기구들의 발달로 어린이들에게 잊혀져가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문화재관리국, 1969∼1981)
『한국의 세시풍속과 민속놀이』(장주근, 대한기독교서회, 1974)
『한국의 민속놀이』(심우성, 삼일각, 1975)
『한국민속대관』 4-세시풍속·전승놀이-(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2)
『朝鮮の鄕土娛樂』(朝鮮總督府, 1941)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장주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