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수비 ()

목차
고대사
문헌
신라와 가야의 국경지대에 있었던 지명.
목차
정의
신라와 가야의 국경지대에 있었던 지명.
내용

『일본서기』게이타이기(繼體紀) 8년(514)조에 나오는 지명이다. 그 기록에 따르면 6세기초에 반파(伴跛), 즉 고령의 대가야는 이열비(爾列比:지금의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와 마수비에 성을 쌓아 마차해(麻且奚 : 지금의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추봉(推封:지금의 경상남도 밀양)에까지 뻗치고 사졸과 병기를 모아서 신라를 핍박한 적이 있다고 한다.

마수비의 위치에 대해서는 지금의 경상남도 합천군 삼가(三嘉)로 보는 설이 있다. 그러나 삼가로 비정한 근거로 된 옛 이름인 삼지(三支)는 그대로 ‘삼지’로 발음되고 마장(麻杖)은 ‘삼지팡’으로 읽었을 것이므로, 마수비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뿐만 아니라 옛 삼지현의 현재 위치는 합천군 삼가면이 아니라 그 서북쪽의 대병명이며, 이 곳은 고령 대가야에서 신라로 나아가는 길로는 적합치 않다.

대가야가 이열비(지금의 부림)와 마수비에 성을 쌓아 추봉(지금의 밀양)까지 세력을 뻗쳤다면, 마수비는 부림과 밀양 사이에서 비정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러므로 마수비는 그 중간에 있는 교통의 요지인 창녕군 영산면 일대로 추정된다. 다만 그에 인접한 요해처인 남지읍(옛 지명 買浦津)과 계성면일 가능성을 남겨둔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일본서기(日本書紀)』
「백제(百濟)의 가야지역(加耶地域) 관계사(關係史)-교섭(交涉)과 정복(征服)-」(김태식, 『백제(百濟)의 중앙(中央)과 지방(地方)』,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7)
「백제남방경역(百濟南方境域)의 변천(變遷)」(전영래, 『천관우선생환력기념한국사학논총(千寬宇先生還曆紀念韓國史學論叢)』, 1985)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