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식령산맥 ()

자연지리
지명
낭림산맥의 마식령 부근에서 분기하여 강원도와 황해도의 도계를 따라 남서쪽으로 이어지면서 경기도 개성과 강화도까지 형성된 산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낭림산맥의 마식령 부근에서 분기하여 강원도와 황해도의 도계를 따라 남서쪽으로 이어지면서 경기도 개성과 강화도까지 형성된 산맥.
개설

이 산맥은 추가령(楸哥嶺) 구조곡(構造谷)의 북측을 따라 나란히 달리며 임진강과 예성강의 분수령을 이룬다. 낭림산맥에서 분기할 때는 해발고도가 1,000m 이상이지만, 서쪽으로 갈수록 차차 낮아지고 말단부는 한강의 하류에 의해 절단된다.

자연환경

암석은 고생대 전기의 조선계(朝鮮系)와 고생대 후기 및 중생대 전기에 걸친 평안계(平安系)가 퇴적되어 형성된 퇴적암이 변성되어 이룬 결정편암이다. 또한 연평균기온이 5∼10℃이며, 식물은 침엽수로는 소나무가 많은 것이 특색이다. 이깔나무ㆍ전나무ㆍ분비나무 등이 있고, 낙엽활엽수로는 자작나무ㆍ박달나무ㆍ엄나무ㆍ단풍나무ㆍ굴피나무ㆍ느릅나무ㆍ떡갈나무ㆍ팽나무 등이 자란다. 침엽수와 낙엽활엽수가 절반씩 혼합되어 있다.

형성 및 변천

마식령산맥은 중국방향(中國方向 : 북북동∼남남서)의 산맥이고, 중생대(中生代) 대보조산운동(大寶造山運動의 결과로 생긴 습곡구조(褶曲構造)이다.

그러나 이 산맥을 습곡산맥으로는 볼 수 없다. 당시의 습곡구조는 오랜 지질 시대를 거치는 동안에 개석(開析)되어 평지가 되었으며 그 뒤에 작용한 단층운동 또는 암석의 경연차(硬軟差)에 따른 차별침식(差別浸蝕)의 결과, 이 방향의 지질구조가 다시 나타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최근 학계의 일반적인 견해는 낭림산맥에서 뻗어 나온 산맥을 단층이나 습곡에 의해 형성된 독립적인 산맥이 아니라 경동지형의 고위평탄면이 침식을 받고 해체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산맥으로 해석한다. 이러한 산맥을 보면 낭림산맥과 같은 척량산맥(脊梁山脈)에서 분리되어 나오는 부분은 높은 산과 깊은 골짜기가 번갈아 나타나는 광범위한 산지이고, 고도가 낮은 말단부는 저위평탄면 위에 솟아 있어 그 존재감이 더욱 뚜렷하다. 그런 면에서 마식령산맥은 침식으로 형성된 노령산맥이나 차령산맥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독일의 라우텐자흐(Lautensach)는 태백산맥과 낭림산맥을 한반도의 척량산맥으로 보고 이들이 하나로 이어지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한국주산맥이라고 명명하였다. 이 이론은 지반운동으로 형성된 태백ㆍ낭림ㆍ소백ㆍ함경산맥을 진정한 의미의 산맥으로 나머지 산맥은 고위평탄면의 해체과정에 남은 잔구성 산지로 보는 지형학계의 일반적인 견해와 큰 차이가 없다.

현황

마식령산맥의 주요 산지로는 동백년산(東百年山, 1,246m)ㆍ명지덕산(明地德山, 911m)ㆍ석봉(石峯, 809m)ㆍ설화산(雪花山, 581m)ㆍ대둔산(大屯山, 769m)ㆍ천마산(天摩山, 762m)ㆍ마니산(摩尼山, 468m) 등이 있다.

참고문헌

『최근북한오만분지일지형도(最近北韓五萬分之一地形圖)』(경인문화사, 1997)
『한반도지질학(韓半島地質學)의 초기연구사(初期硏究史)』(立岩 巖, 양승영 역, 1996)
『신편한국지리(新編韓國地理)』(정장호, 우성문화사, 1980)
『한국지지 총론(韓國地誌 總論)』(건설부 국립지리원, 1980)
『지질학개론(地質學槪論)』(정창희, 박영사, 1986)
『지리(地理)』(권영식 외, 박영사, 1977)
「한국(韓國)의 산맥(山脈)」(권혁재, 『대한지리학회지」35(3), 2000)
북한지역정보넷(http://www.cybernk.net)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