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상군가 ()

맹상군가
맹상군가
고전시가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가사.
구성 및 형식

단편가사로 장가 또는 사설시조의 형태와 비슷하다. 맹상군의 생애를 슬퍼하고, 살아 있을 동안에 한껏 놀며 즐기자는 내용으로 정철(鄭澈)의 「장진주사(將進酒辭)」와 비슷한 주제의 노래이다. 『청구영언』·『교주가곡집』 등에 실려 전한다.

내용

전문은 다음과 같다.

춘추전(千秋前) 존귀(尊貴)키야 맹상군(孟嘗君)만 할까만은

천추후(千秋後) 원통(寃痛)함은 맹상군이 더옥 섧다

식객이 적돗던가 명성(名聲)이 고요턴가

개 도적 닭의 울음 인력(人力)으로 살아나셔

말이야 죽어지며 무덤 우희 가시나니

초동목수(樵童牧豎)들이 그 우흐로 거닐면서

슬픈 노래 한 곡조를 부르리라 하였을까

옹문주 일곡금(雍門周一曲琴)의 맹상군의 한숨이 오르는 듯 나리는 듯

아해야 거문고 청쳐라 살았을 제 놀리라.

의의와 평가

『청구영언』에는 이 노래를 두고, 무명씨가 지은 것으로 대개 인간세상의 번화(繁華)란 일장춘몽과 같아서 죽은 뒤의 이름이 살았을 제의 즐거움만은 못함을 노래한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노래의 형식으로 보아 사설시조와 거의 구분이 되지 않아, 조선 후기 가사와 사설시조와의 장르간의 교섭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가사문학(韓國歌辭文學)의 연구(硏究)』(이상보, 형설출판사, 197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