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다리 (다리)

목차
관련 정보
명다리 / 칠성신앙
명다리 / 칠성신앙
민간신앙
개념
무당과 단골 관계를 맺기 위하여 바치는 공물 또는 신에게 바치는 제수를 가리키는 의례도구.
목차
정의
무당과 단골 관계를 맺기 위하여 바치는 공물 또는 신에게 바치는 제수를 가리키는 의례도구.
내용

명다리는 한번 바치면 영원히 계속하는 것은 아니고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다시 갱신하여야 하며 새로이 만들어 바쳐야 영험이 지속된다고 믿는다.

대개 명주나 무명 헝겊에 이름과 생년월일 등을 적은 것과 함께 실타래를 바치는 것이 예사이다. 이러한 행위를 일컬어 어린아이의 수명장수를 위하여 무녀에게 아이를 파는 것이라 한다.

이름을 써서 ‘무당에게 판다’고 하는데, 이렇게 판 것을 바쳐 무당과 신자 관계를 맺으면 어린아이는 무당의 자녀가 되어 무당의 ‘신딸’·‘신아들’이 되고, 무당은 ‘신어머니’가 되는 단골 관계가 성립된다.

이것은 어린이의 수명장수를 신력(神力)이 있는 무당이 책임진다는 신앙에서 나온 것이다. 무당은 이들 단골 아이들의 수명장수를 빌어주어야 할 의무가 있어서, 무녀 자신의 신당굿을 할 때에는 반드시 이들 어린아이들의 명다리를 가지고 춤을 춘 다음 빌어 주는 축원을 한다.

무당은 명다리를 잘 간수하여야 한다. 명다리는 무당의 단골 판도를 알 수 있게 하며 세력도 알 수 있는 것이다. 무당이 이사를 하게 되면 명다리를 팔 수도 있고, 죽었을 때에는 무계(巫系)를 계승받은 무당이 명다리를 인계받는다.

참고문헌

『경기도지역무속(京畿道地域巫俗)』(장주근·최길성, 문화재관리국, 197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길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