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계문집 ()

목차
관련 정보
모계문집
모계문집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문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29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문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2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829년(순조 29) 후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심춘(柳尋春)의 서문과 목록이 있고, 세계도가 첨부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19수, 부 2편, 소(疏) 3편, 권2에 서(書) 49편, 권3에 답문(答問) 4편, 잡저 10편, 발 1편, 제문 8편, 묘지명 1편, 행록 3편, 권4는 부록으로 행장 1편, 묘지명 1편, 만장 6수, 제문 13편,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이청휘사우록(李晴暉師友錄)·예조원사록(禮曹院祠錄)·용원서원상량문(龍源書院上樑文)·봉안문·상향축문·월담변공고유문(月潭卞公告由文)·강당중수상량문·묘우중수봉안문·부증유찬영시(附贈遺贊詠詩)·부문답서찰(附問答書札)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문집은 시(詩)·문(文)보다 의병의 사적이라든가 효자들에 관한 이야기와 언행록 등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이 특색이다. 시 가운데 「원석우음(元夕偶吟)」은 객지에서 새해를 맞이하는 쓸쓸한 감정을 잘 표현한 작품이다. 「만정한강(挽鄭寒岡)」은 정구(鄭逑)의 죽음을 애도해 지은 것이다.

부 가운데 「사자언지부(四子言志賦)」는 네 사람이 모여서 각기 자기 뜻을 밝힌 것을 기록한 것이다. 세 사람은 나라를 위해 일생을 바치겠다고 했으나, 한 사람이 자연의 순리에 따라 증점(曾點)의 고사대로 무우(舞雩)에 바람을 쐬고 시를 읊겠다고 밝힌 점을 칭찬한 내용이다.

소 가운데 「대영유신최수우소(代嶺儒伸崔守愚疏)」는 영남유림들을 대표하여 최영경(崔永慶)의 무죄를 주장한 것이다. 서 가운데 「상정한강서(上鄭寒岡書)」에서는 정구에게 학문하는 방법과 인격수양에 대해 질의하고, 자기의 의견을 진술하였다.

잡저 가운데 「곽망우당사적(郭忘憂堂事蹟)」은 임진왜란 때 홍의장군으로 불리며 백전백승한 곽재우(郭再祐)의 활동을 정리한 글이다. 그의 웅대한 지략과 전술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이밖에 청나라 군사의 남하를 염려하는 내용의 「답충후서(答忠後書)」가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순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