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석인본. 1927년 6세손 창수(昌洙)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황(金榥)의 서문과 권말에 이종렬(李鍾烈)의 발문이 있다. 벽진이씨대종회에 소장되어 있다.
권1에 시 135수, 부(賦) 1편, 권2에 시 8수, 책문(策問) 3편, 발(跋) 1편, 축문 1편, 제문 5편, 행장·묘갈명·묘지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시문이 청고하고 품격이 높다. 「고음(孤吟)」·「독서유감(讀書有感)」에서는 성현의 숭고한 학문을 동경하면서 누구나 노력하면 성현의 지위에 도달할 수 있다는 확고한 신념을 나타내고 있다.
부의 「관유이교(寬柔以敎)」는 공자(孔子)가 『중용』에서 남방의 강(强)과 북방의 강을 비교하여 말한 뜻을 해석한 것으로, 군자의 강함은 무술을 주로 하여 자신을 보호하는 북방의 강함과는 달리 인(仁)을 바탕으로 하여 통일된 정신자세에서 오는 강함임을 강조하였다.
「책문」은 과장에서 작성한 답안으로 언로에 대하여 논의한 것인데, 왕은 왕의 직분을 다하고 신하는 신하의 직분을 다하여야 신하가 직언할 수 있고 왕이 가납할 수 있는 바, 이것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언로란 명목뿐이라고 지적하였다.
「서이자명행장(書李子明行狀)」은 이자명의 특출한 효행을 표창, 장려하고자 한 내용이다. 이밖에도 학자의 죽음을 애도한 「제구와김공문(祭龜窩金公文)」과 농촌의 풍경을 가사조로 읊은 「농가구장(農歌九章)」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