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개념
일체 만물이 끊임없이 생멸변화하여 한 순간도 동일한 상태에 머물러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불교의 근본 교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무상은 일체 만물이 끊임없이 생멸 변화하여 한순간도 동일한 상태에 머물러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무상관은 만물은 항상 변화하고, 변화하기 때문에 인간은 탐욕을 버려야 함을 깨닫게 되고, 정진하고 노력하려는 적극적인 생활을 하게 된다. 불교 사상의 근원은 인간의 현실 생활을 고(苦)라고 여기는 데서 출발한다. 고는 생명이 있는 모든 존재에게 필연적으로 주어지는, 면할 수 없는 것이다. 이 괴로움의 원인을 더욱 논리적으로 규명해 가면 무상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무상은 생겨난 일체의 존재가 갖는 필연적인 상태로 이 무상을 체득하는 것이 해탈에의 첫걸음이다.

정의
일체 만물이 끊임없이 생멸변화하여 한 순간도 동일한 상태에 머물러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불교의 근본 교리.
개설

일체의 만물이 끊임없이 생멸변화(生滅變化)하여 한 순간도 동일한 상태에 머물러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범어(梵語)로는 아니탸(Anitya), 팔리어(Pali language)로는 아니짜(Anicca)로 인도 힌두교사상의 집약서인 『우파니샤드(Upaniṣad)』에서 강조되었던 상주설(常住說)의 반대개념으로서 현상계를 시간적으로 파악한 불교의 근간을 이루는 개념이다.

연기설(緣起說)은 이와 같은 무상관(無常觀)을 바탕으로 성립되었으며, 초기 불교의 근본교리인 삼법인(三法印: 諸行無常 · 諸法無我 · 涅槃寂靜)의 하나가 되었다.

내용

무상이란 만물은 항상 변하며, 영원한 실체로 존속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뜻에서, 만물의 실상을 표현한 것이다. 그러나 무상이라는 것이 불규칙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존재는 서로 관련을 맺는 관계성 안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며, 결코 그것만으로는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을 연기설로써 천명하고 있다. 즉, 인(因)과 연(緣)이 서로 결합하여 생겨난 모든 현상은 무상의 법칙을 따르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상관은 단순한 비관적(悲觀的) · 허무적(虛無的)인 덧없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무상하기 때문에 항상 변화가 있고,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인간은 자유나 명예에 집착하는 탐욕을 버려야 함을 깨닫게 되며, 귀중한 생명을 방일(放逸)하게 사용하는 일 없이 정진(精進)하고 노력(努力)하려는 적극적인 생활과 연결된다. 이것이 불교가 가르친 무상의 참 뜻이다.

무상에는 염념무상(念念無常)과 상속무상(相續無常)의 두 종류가 있다. 염념무상은 찰나 사이에도 생주이멸(生住異滅)하는 4상(相)이 있어 잠시도 정지하지 않는 것을 지칭하고, 상속무상은 사람의 목숨과 같이 만물이 일정 기간에 걸쳐서 생주이멸하는 변화를 말한다. 또 무상을 체득하는 느낌과 빠름은 흔히 말에 비유되는데, 이를 사마유(四馬喩)라고 하여 특히 우리나라 선종에서 많이 인용하였다.

사마유란 첫째, 채찍의 그림자만 보고도 놀라는 말은 다른 마을에 누가 죽었다는 말만 듣고 놀라는 사람과 같고, 둘째, 채찍이 털에 닿고야 놀라는 말은 자기 마을에 죽은 사람이 있음을 보고 놀라는 사람이며, 셋째, 채찍을 살갗에 맞고야 놀라는 말은 자기의 친척이 죽은 것을 보고 놀라는 사람이며, 넷째, 채찍에 맞아 뼈에 사무치도록 아파야만 놀라는 말은 자기가 병들어 앓고야 비로소 놀라는 사람과 같다고 한다.

결국, 이 세상의 모든 것은 무상에 머물게 되는 것으로 빨리 무상을 느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 무상을 상징하는 가장 대표적인 표현은 생자필멸(生者必滅)이다.

의의와 평가

우리나라 불교의 어떠한 종파에서도 이 무상에 대해서는 공통된 입장을 취하고 있다. 불교사상의 근원은 인간의 현실생활을 고(苦)라고 여기는 데서 출발한다. 이러한 고는 생명이 있는 모든 존재에게 필연적으로 주어지는, 면할 수 없는 것이라 하여 일체개고(一切皆苦)라고 규정하고, 이 괴로움의 원인을 더욱 논리적으로 규명해 가면 무상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생로병사(生老病死)와 그 밖의 모든 괴로움도 무상의 한 단면에 지나지 않으며, 불교의 근본 교리인 삼법인의 제일 앞에 제행무상(諸行無常)을 세운 것도 이 때문이다.

무상은 생겨난 일체의 존재가 갖는 필연적인 상태로 이 무상을 체득하는 것이 해탈에의 첫걸음으로 연결된다. 또 불교의 여러 문헌 속에서는 무상과 멸(滅)이라는 단어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인간의 마음속에 끊임없이 일어나는 미혹과 번뇌를 잠재우고 제거한다는 실천적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참고문헌

『불교개설(佛敎槪說)』(무진장, 홍법원, 1980)
『불교학개론(佛敎學槪論)』(김동화, 보련각, 195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