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석환 ()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때, 민종식 의진에서 참모 겸 서기로 활동한 의병.
이칭
영백(英伯)
운초(雲樵)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69년(고종 6)
사망 연도
1925년
본관
남평(南平)
출생지
충청남도 서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한제국기 때, 민종식 의진에서 참모 겸 서기로 활동한 의병.
개설

본관은 남평(南平). 자는 영백(英伯), 호는 운초(雲樵). 충청남도 서천 출신. 최익현(崔益鉉)을 사사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되자 1906년 1월 4일 최익현·민종식(閔宗植)과 함께 의병을 일으킬 것을 결의하였다. 최익현은 4월 13일 태인(泰仁)에서 거의하기로 하고, 민종식은 4월 18일 홍산(鴻山)에서 의병을 일으킬 것을 결정하였다.

문석환은 민종식 의진에 들어가 참모 겸 서기로 활약하면서 홍주성 함락에 일익을 담당하였다. 일본군의 공격으로 홍주성은 함락되고, 민종식은 피신하였다. 그러나 문석환은 82명의 동지와 함께 일본군에 잡혀 서울의 일본군사령부에서 심문을 받았고, 7월 74명은 석방되었으나 나머지 8명과 함께 유죄선고를 받고 대마도(對馬島)로 유배되었다.

옥고를 치르던 중 8월말 최익현과 임병찬(林炳瓚)이 뒤를 이어 대마도로 유배를 와서 이칙(李侙) 등 8명과 함께 최익현을 위로 격려하면서 시를 짓고 학문을 논하면서 지냈다.

같은 해 11월 17일 최익현이 순절하자, 도집사(都執事) 임병찬, 부집사 이칙, 그리고 자신은 사서를 맡아 치상(致喪)하였다.

그 뒤 일제의 학대와 끈질긴 회유를 이겨내고 3년간의 옥고를 치렀다.

상훈과 추모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매천야록(梅泉野錄)』
『홍양기사(洪陽紀事)』
『운초문선생실기(雲樵文先生實記)』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운동사』 7(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6)
『독립운동사자료집』 3(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독립운동사』 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독립운동사자료집』 2(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집필자
박성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