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와문집 ()

목차
관련 정보
권석원의 밀와문집 중 표지
권석원의 밀와문집 중 표지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권석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권석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연활자본. 1964년 그의 현손 태인(泰仁)과 5대손 영우(寧佑)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의 서문과 권말에 김승학(金承學)·태인 등의 후지(後識)가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25수, 권2에 서(書) 52편, 서(序) 5편, 권3에 기 7편, 발 10편, 상량문·설 각 1편, 제문 11편, 애사·유사 각 2편, 권4는 부록으로 행장·묘갈명·유사·만사·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학문적 연구를 주제로 한 「태극음(太極吟)」·「득지자음(得知字吟)」·「산학이수(算學二首)」 등과 자연풍경 또는 전원생활의 소박한 정서를 소재로 한 「영매(詠梅)」·「등산우음(登山偶吟)」 등을 비롯하여 목가적 서정이 강하게 반영된 「유거십경(幽居十景)」·「유흥팔수(幽興八首)」 등의 연작시를 포함한 다양한 제재의 작품이 고루 수록되어 있다. 특히, 「촌거십이월흥(村居十二月興)」은 한 해 동안 매월마다 각기 특색 있는 풍물과 습속이 사실적 필치로 묘사된 것으로서, 당시의 풍속을 살피는 데 가치가 있다.

서(書) 중 「답이여명(答李汝命)」은 올바른 인격의 수양과 학문 연마에 관한 방법을 설명하는 내용이다.

이밖에 예학(禮學)의 조주매안(祧主埋安: 먼 조상의 신위를 무덤매장하는 것)에 대한 논변을 전개한 「답인문목(答人問目)」을 비롯하여, 대화형식을 취하여 오동나무를 예찬한 「쌍오설(雙梧說)」 등이 있다.

집필자
이민식(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