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동보 ()

목차
회화
인물
조선후기 「수묵산수」 · 「맹호연방매도」 · 「묵매도」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이칭
이칭
청구자, 죽리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개성
주요 관직
부사과|동지중추부사
관련 사건
통신사행 수행화원|영조어진도사|세조어진 도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수묵산수」 · 「맹호연방매도」 · 「묵매도」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개설

본관은 개성(開城). 호는 청구자(靑丘子)·죽리(竹里). 도화서(圖畵署) 화원(畵員)으로 부사과(副司果)를 거쳐 동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1711년(숙종 37)부터 1712년까지 통신사행의 수행화원으로 정사(正使)인 조태억(趙泰億)을 따라 일본에 다녀왔다.

활동사항

일본에 「수묵산수(水墨山水)」와 「맹호연방매도(孟浩然訪梅圖)」 등을 남겼으며, 이 작품들에 썼던 조태억(趙泰億)과 이방언(李邦彦)의 찬문이 『고화비고(古畵備考)』의 조선서화전에 전한다. 특히, 일본에 남긴 그의 회화는 당시 일본 남종화(南宗畵)의 선구자로 우리나라 사신 접대에 공이 컸던 기온 난카이(祗園南海)의 묵매화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또한, 초상을 잘 그려 함세휘(咸世輝), 양기성(梁箕星)과 함께 영조어진을 도사하였으며, 1735년(영조 11)장득만(張得萬)과 함께 세조어진을 도사하였다. 현존하는 그의 작품은 많지 않으며 개인소장의 「묵매도(墨梅圖)」 두 폭이 잘 알려져 있다.

이 두 폭의 매화나무 그림은 나뭇가지가 심하게 뒤틀린 필획이 변칙적이고 기괴한 느낌을 준다. 그렇지만 구도나 매화꽃의 표현 등은 기본적으로 어몽룡(魚夢龍), 허목(許穆) 등에 의하여 우리나라 묵매법이 형성된 조선 중기의 화법을 따르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회화대관(韓國繪畵大觀)』(유복렬, 문교원, 1969)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古畵備考』(朝岡興禎, 東京 思文閣, 1970)
「17·18세기(世紀)의 한·일간회화교섭(韓·日間繪畵交涉)」(홍선표, 『고고미술』143·144, 1979)
『한국회화대관』(유복렬 편, 문교원, 1969)
『근역서화징』(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17·18세기의 한·일간회화교섭」(홍선표, 『고고미술』143·144, 한국미술사학회, 1979)
『古畵備考』(朝岡興禎, 東京:思文閣, 197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