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약집설 ()

유교
문헌
조선시대 문신 이민환이 여러 문헌에서 안자(顔子)에 관한 글을 집록한 수양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문신 이민환이 여러 문헌에서 안자(顔子)에 관한 글을 집록한 수양서.
개설

불분권 1책. 목판본. 권두에 1635년(인조 13) 편자가 쓴 자서(自序)가 있고, 권말에 이광정(李光庭)이 1743년(영조 19)에 쓴 발문이 있으나, 이것으로 정확한 간행연대를 판단하기는 곤란하다.

내용

이 책은 일정한 편목을 정하고 있지는 않으나 약 55개 구절로 되어 있으며, 서문에 의하면 「극기복례(克己復禮)」를 맨 앞에, 「사대예악(四代禮樂)」을 중간에, 「우직동도자(禹稷同道者)」를 마지막에 각각 수록하였다고, 대략적인 편차를 말하였다.

이 책의 제명인 ‘박약집설’은 『논어』의 ‘박문약례(博文約禮)’에서 취한 것이며, 그에 대한 후세 학자들의 설을 모은 것이므로 집설이라 한 것이다. 안자는 공자에게 가장 촉망받던 수제자로 후세에 성인으로까지 추앙받는 이나, 일찍이 요사(夭死)하여 저술을 남기지 못하였다.

다만 그의 언행과 사적이 『논어』를 비롯하여 『역계사(易繫辭)』·『중용』·『맹자』·『예기』·『가어(家語)』 등에 산견(散見)되고, 정이천(程伊川)의 「안자소호하학론(顔子所好何學論)」 등 제가(諸家)의 글이 있을 뿐이다.

편찬/발간 경위

편자는 서문에서 “안자는 시청언동(視聽言動)의 덕행에 착력(着力)하여 공자를 배우기에 전력을 다하였으니, 참으로 호학(好學)한다 할 수 있을 것이다.” 하고, “만약 후세의 학자들이 입성(入聖)의 설에 얻는 바 있어 ‘박약(博約)의 가르침’에 종사(從事)하여 ‘안자는 누구이며 나는 누구이냐’라는 말로써 뜻을 세우면 장차 반드시 이에 대한 소감이 있을 것이다.”고 하여, 그가 이 책을 편집하게 된 동기를 밝히고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집필자
이민식(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