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은유고 ()

목차
관련 정보
박영은유고 / 임단여자행
박영은유고 / 임단여자행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박항한의 시 · 자경문 · 서(書)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박항한의 시 · 자경문 · 서(書)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목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자세한 간행경위는 알 수 없으나, 저자가 죽은 뒤 아들 문수(文秀)가 편집,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시 36수, 자경문(自警文) 1편, 서(書) 1편, 제문 1편, 부록으로 가장(家狀), 행록(行錄)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칠언절구와 오·칠언 율시가 각각 10여 수씩 주종을 이루고 있고 오·칠언 배율도 있다. 칠언 율시 중 「여우서회(旅寓書懷)」는 추운 겨울 서울에 올라왔을 때의 객회(客懷)를 읊은 것으로 감상적인 느낌을 준다.

칠언 장편의 「임단여자행(臨端女子行)」은 여심(女心)을 노래한 가행체(歌行體)로 서정성이 두드러진다. 「유금산사(遊金山寺)」·「강행(江行)」·「기행(紀行)」 등의 기행시는 그 작품연도가 기록되어 있어 그의 여행경력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한다.

자경문 1편은 자신의 학문적 경험을 토대로 앞으로 나아갈 방향과 각오를 기록한 글로, 저자의 학문적 경지와 수행태도를 짐작하게 한다.

서(書)의 「상명재서(上明齋書)」는 당시의 석학 윤증(尹拯)에게 보낸 서찰로,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종사(宗社)를 따라 강화에 피난 갔다가 그 곳이 함락되자 순절한 충신 심현(沈현)의 사우(祠宇)건립과 향사(享祀)문제를 의논한 내용이다.

부록의 가장은 저자의 아우 사한(師漢)이 지은 것이며, 행록은 박문호(朴文鎬)·이태좌(李台佐) 등이 찬술한 것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민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