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이환 ()

박이환
박이환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때, 이규홍 의진에서 부장으로 활동한 의병.
이칭
야은(野隱)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3년(고종 10)
사망 연도
1953년
본관
밀양(密陽)
출생지
전라북도 익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한제국기 때, 이규홍 의진에서 부장으로 활동한 의병.
개설

본관은 밀양(密陽). 호는 야은(野隱).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익산 출신. 박윤서(朴潤瑞)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06년 4월 최익현(崔益鉉)이 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 종성리에서 거의하자, 이규홍(李圭弘) · 문형모(文亨謨) 등과 함께 최익현 의진에 참가하여 옥구 · 임피 · 함열 · 용안 · 익산 등지의 충신의사(忠臣義士)에게 황제의 칙서를 전하며 의거에 동참할 것을 권유하였다.

최익현의 체포로 의진이 해산되었으나, 1907년 10월까지 의병을 모아서 형 박영환(朴永桓)이 제공한 군자금으로 총기 300여 점과 탄환 20여 두, 군도(軍刀) 50여 점, 그리고 화약 10여 두를 준비하여 재거의에 대비하였다.

1907년 11월 6일 함께 거의한 이규홍을 의병장으로 추대하고 자신은 부장(副將)이 되어 250여 명의 의병진을 편성하여, 그 달 25일 전라북도 고산면 가금리에서 일본군과 교전하여 20여 명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렸다.

1908년 1월 3일 진산 · 금산 등지에서 일본군과 접전하여 큰 전과를 올렸다. 그러나 그 해 2월 초순부터 일본군의 의병 대토벌작전이 본격화됨에 따라 점차 전력이 쇠퇴하자 4월 21일 의진을 자진 해산하였다.

1914년 3월 재거의를 모색하던 중 임병찬(林炳瓚)이 대한독립의군부(大韓獨立義軍府)를 창립하였음을 듣고 이에 동참하여 익산 · 임피의 대표로 활약하였다. 그러나 적에게 조직이 드러나 주요간부가 붙잡히자 지하로 은신하였다.

상훈과 추모

1983년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둔헌유고(遯軒遺稿)』(임병찬)
『오하일기(梧下日記)』(이규홍)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운동사자료집』 2(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한국독립사』(김승학, 독립문화사, 1965)
「의병대장 오하 이규홍의 항일투쟁」(이강오, 『전북신문』, 1982.9.20 ∼9.22)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박성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