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상시 ()

목차
관련 정보
유교
의례·행사
연말의 구나(驅儺 : 악귀로 분장한 사람을 방상시가 쫓는 연극) 때 또는 기타 행사 때 역귀(疫鬼:역병을 일으키는 귀신)를 쫓는 민간의례. 나자(儺者).
목차
정의
연말의 구나(驅儺 : 악귀로 분장한 사람을 방상시가 쫓는 연극) 때 또는 기타 행사 때 역귀(疫鬼:역병을 일으키는 귀신)를 쫓는 민간의례. 나자(儺者).
내용

임금의 행차나 외국 사신의 영접, 기타 궁중의 행사에 사용하였으며, 장례 때는 광중(壙中 : 시체를 묻는 구덩이)의 역귀를 쫓는 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는 중국 고대 주(周)나라 때부터 있어오던 풍습으로, 『주례(周禮)』에 의하면 하관(夏官)의 소관이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언제부터 있어왔는지 알 수 없으나 조선시대 궁중에서 행하던 구나 때에는 관상감(觀象監)에서 주관하였는데, 방상시 4인을 비롯하여 붉은 옷에 화립(畫笠)의 가면을 쓴 지군(持軍) 5인, 녹색 옷에 화립의 가면을 쓴 판관(判官) 5인, 기타 각종 가면을 쓴 조왕신(竈王神) 4인, 소매(小梅 : 초라니) 여러 사람, 십이신(十二神)·축신(丑神)과 악공(樂工) 10여 인 등으로 역귀를 쫓는 나례를 거행하게 된다.

역귀를 쫓는 방법에는 구타법(毆打法)·화기법(火氣法)·자상법(刺傷法)·봉박법(封縛法)·공물법(供物法)·공순법(恭順法)·주부법(呪符法)·차력법(借力法)·약물법(藥物法)·오감법(五感法)·음양법(陰陽法) 등의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방상시는 특히 색깔을 이용한 오감법에 가까운 양귀(禳鬼 : 악귀를 물리치는 것)의 방법이다.

참고문헌

『용재총화(慵齋叢話)』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민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