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상시 탈 ( 탈)

목차
관련 정보
방상씨탈
방상씨탈
연극
유물
국가유산
나례와 장례의식에 사용되었던 탈.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방상시 탈(方相氏 탈)
분류
유물/과학기술/놀이유희용구/놀이기구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1970년 03월 27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나례와 장례의식에 사용되었던 탈.
내용

1970년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1970년창덕궁 창고에서 장례용구와 함께 발견되었다. 송판(松板)에 얼굴 모양을 파고, 그 위에 이마와 눈썹, 코와 귀를 따로 만들어 붙였으며, 네 눈과 입은 음각하였으나 뚫리지는 않았다.

눈썹에 녹색과 홍색을 칠한 흔적이 있다. 높이가 72㎝인 이 나무탈은 조선조 말까지 사용되었던 장례용 방상시탈이나, 궁중 나례에 사용되었던 방상시탈의 모형인 것 같다.

보통 장례에 사용되는 방상시탈은 나무와 종이로 만들며, 이것을 쓴 방상시는 장례행렬의 맨 앞에 수레에 태워 끌고 가며 잡귀를 쫓고, 묘소에 이르러 광중의 악귀를 쫓는다. 한번 쓴 탈은 묘광(墓壙) 속에 묻거나 태워버리고, 장례 때마다 새로 만들어 썼다. 지금으로서는 조선시대의 유일한 유품으로 남아온다.

참고문헌

『한국(韓國)의 가면극(假面劇)』(이두현, 일지사, 1979)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