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화여자고등학교 ()

배화여자고등학교
배화여자고등학교
단체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동에 있는 사립 여자고등학교.
이칭
이칭
배화여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동에 있는 사립 여자고등학교.
연원 및 변천

1898년 10월 미국 남감리교 여선교사 캠벨(J. P. Campbell)에 의해 서울 종로구 내자동에서 캐롤라이나학당으로 설립되었다. 교육을 통한 기독교 복음 전파와 여성계몽을 목적으로 설립하여 2명의 여아와 3명의 남아로 초등교육을 시작하였다. 초기에는 국어·한문·성경 등을 중심으로 가르쳤으며, 1902년부터 기숙사생 이외에 통학생을 입학시켜 학생수가 30여 명으로 증가되었다.

1903년 남감리교 여선교부에서 경비를 지원받아 교사를 확장하는 한편 중학교 예비과를 설치하였다. 1905년 5월에 고등과 제1회 졸업생을 배출하였으며, 1910년 교명을 배화학당(培花學堂)으로 개칭하고 초대 교장대리에 니콜스v 취임하였다. 당시의 교과목은 국어·성경·한문·만국사·식물학·산술대수·작문·영어·자수·음악·창가·체조 등이었다.

1912년 5월 3년제 고등과와 4년제 보통과를 설치했으며, 1916년 1월서울 종로구 필운동 현재의 위치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같은 해에 고등과를 4년제로 개편하고 1917년 배화유치원을 부설하였으며, 1922년 보통과를 6년제로 개편하고 대학예과(大學豫科)를 설치하였다가 1년 뒤에 폐지하였다.

1925년 배화여자고등보통학교로 개칭하고 이듬해에 캠벨기념관을 신축하였으며, 1938년 3월 배화고등여학교로 개칭하였다. 그 뒤 1940년 9월 일제의 계속되는 신사참배 강요로 기독교계 학교의 모든 선교사들이 철수하게 되자, 심한 경영난으로 폐교의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이때 교사 이덕봉(李德鳳)·이만규(李萬珪) 등의 주선으로 독지가 이민천(李閔天)의 재산을 희사 받아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다. 1946년 4월 학제개정에 따라 6년제의 배화여자중학교로 개편하였다가 1951년 5월 배화여자중학교와 배화여자고등학교로 분리되었다. 그 뒤 1960년에 12학급, 1971년에 24학급으로 증가되었다. 1971년 3층 건물을 미 선교사로부터 인수해서 생활관을 개관하였다.

2010년 현재 30학급에 총 1,069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고, 교직원은 63명이 재직하고 있다.

기능과 역할

교훈은 ‘믿음[信]·소망[望]·사랑[愛]’으로 인격 완성은 믿음으로, 인류 행복은 소망으로, 생활 실천은 사랑으로 이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세계 속의 능력 있는 한국 여성으로 성장시키기 위하여 개척정신·봉사정신·국제화정신을 배양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역사적인 활동사항으로는 1910년 국권 상실 후 관계(官界)를 떠난 남궁억(南宮檍)이 교사로 부임하여 학생들에게 민족의식과 독립사상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무궁화로 우리나라 13도(道)를 상징한 지도와 태극기를 수놓게 하였다. 이 무궁화 지도와 태극기 수본은 차츰 각 가정으로 보급되어 국민들에게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북돋워 주었다.

1914년 일본인 교사의 일어 수업을 거부하였으며, 1919년 3·1운동 당시 「독립선언문」 배포, 1920년 기숙생들의 만세사건, 1930년 광주학생사건 때의 격문사건 등으로 많은 교사와 학생들이 구속되기도 하였다.

1935년 제1회 여자농구대회에서 우승하였고, 1936년 연희전문학교 및 이화여자전문학교 주최 영어웅변대회에서 거듭 우승하였다. 1954년에는 자전거경주에서 1·2·3등을 차지하기도 하였다. 1956년 전국아동미술실기대회 주최를 비롯하여 1968년부터는 매년 9월에 전국어린이백일장을 개최하여 어린이들의 숨은 재능을 찾는 기회를 마련하고 있다.

그 밖에 난초문학의 밤, 합창경연대회, 교내백일장, 미술실기대회 등을 통하여 학생들의 특기적성 계발에 힘쓰고 있다. 탁구와 정구 부문에서 전국체전의 서울대표 및 일본 원정경기 대표 등으로 출전하였으며, 합창·미술·무용 등에서도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1998년에는 『배화 100년사』를 간행하였다.

참고문헌

『한국 근대교육의 형성』(김경미, 혜안, 2009)
『한국근현대중등교육 100년사』(유봉호·김융자, 교학연구사, 1998)
『배화 100년사』(배화여자고등학교, 1998)
『배화 80년사』(배화여자고등학교, 1978)
「남궁억의 여성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배화학당 시절을 중심으로」(송준석, 『한남교육연구』2, 1994)
배화여자고등학교(www.paiwha.hs.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