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박산형뚜껑 향로 ( 뚜껑 )

목차
관련 정보
백자 박산형뚜껑 향로
백자 박산형뚜껑 향로
공예
유물
국가유산
고려시대의 백자 향로.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백자 박산형뚜껑 향로(白磁 博山形蓋 香爐)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백자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백자 향로.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개성 부근의 고려시대 고분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한다. 몸체는 전체적으로 구형(球形)을 이루었는데, 개부(蓋部)와 화사(火舍)로 분리, 구성되어 있으며 경쾌하게 외반(外反)된 다리 3개가 부착되어 화사를 받치고 있다.

중첩된 산악(山嶽)의 형상을 이룬 반구형(半球形) 뚜껑의 정상에는 다각형의 큰 기공(氣孔)이 있으며 그 밑에 다시 돌아가면서 7개의 쌍엽형(雙葉形) 풍혈(風穴)을 배치하여 이를 통하여 연기가 발산되도록 하였다. 유약(釉藥)은 청백색을 띠는 백자유가 두껍게 시유(施釉)되었고, 빙렬(氷裂)이 거의 없으며 투명하고 광택이 있는 깨끗한 유조(釉調)를 지니고 있다.

이 향로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여 볼 때 12세기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국적과 요지(窯地)를 가늠하기가 매우 어렵다. 형태는 중국 한대(漢代)의 박산향로를 단순화 · 양식화시킨 것으로서 서진(西晉) 때의 월주요 청자(越州窯靑磁)에도 이와 비슷한 형태를 갖춘 예가 보이고 있는데, 월주요 청자향로의 경우 뚜껑의 꼭대기에 새를 조각하여 장식하였다. 또 이 향로와 같이 구형을 이룬 몸체에 뚜껑의 윗면을 투각(透刻)하는 양식은 송대의 청백자향로 중에 더러 보이고 있다.

고려시대의 경우 12세기 중엽경에는 전북 부안에서 고려적으로 세련된 양질의 백자가 많이 생산되었으며, 양은 적지만 전남 강진의 요(窯)에서도 양질의 백자가 제작되었다. 이러한 점들로 보아 이 향로는 12세기 고려백자와 남송 초엽경의 청백자의 성격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작품이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국보』 -청자·토기-(정양모 편, 예경산업사, 1986)
「高麗陶磁の窯址と出土品」(鄭良謨, 『世界陶磁全集』-高麗-, 東京 : 小學館, 1978)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