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노걸대 ()

목차
관련 정보
번역노걸대 / 최세진
번역노걸대 / 최세진
언어·문자
문헌
조선전기 학자 최세진이 한문본 『노걸대』를 언해하여 중종 연간에 간행한 교재. 중국어학습서 · 언해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전기 학자 최세진이 한문본 『노걸대』를 언해하여 중종 연간에 간행한 교재. 중국어학습서 · 언해서.
내용

2권 2책. 한문본 『노걸대』의 원문에 중국어의 음을 한글로 달고 언해한 것으로 『사성통해(四聲通解)』(중종 12)보다 앞서 된 것으로 추정된다.

원간본은 전하지 않으나, 현재 전하는 책이 을해자본의 복각으로 보이고, 동시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가 을해자본이므로 이 책도 원래 을해자로 간행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전하는 중간본은 서문·발문·간기가 없으나, 최세진의 『사성통해서』에 『노걸대』와 『박통사』를 언해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또 『사성통해』에 「번역노걸대박통사범례(飜譯老乞大朴通事凡例)」가 실려 있으므로 이 책의 편찬과 그 간행을 알 수 있다.

서명이 책에는 ‘노걸대’라고만 되어 있으나, 원본인 『노걸대』와 1670년(현종 11)의 『노걸대언해』와 구별하여 『번역노걸대』라고 부르고 있다.

『노걸대』가 상인의 여행과 교역에 관한 회화집이므로 이 책은 독특한 대화체의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여주며, 후대의 『노걸대언해』와의 비교에 의하여 국어의 변천을 연구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원문의 한자에 단 한글 독음은 중국어의 음운사연구 자료도 된다. 상권이 1972년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하권이 1975년 인하대학교 부설 인문과학연구소에서 영인되었다.

참고문헌

「중세어(中世語)의 한글 자료(資料)에 대한 종합적(綜合的)인 고찰(考察)」(안병희, 『규장각』3, 1979)
「번역노걸대 박통사(朴通事)의 중국음운(中國音韻) 표기연구」(정광, 『국어국문학』64, 1974)
「신발견(新發見)인 최세진(崔世珍)의 저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 권상(卷上)을 보고」(남광우, 『국어국문학』55∼57합병호, 1972)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