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책. 필사본.
제1책에는 태조부터 철종까지의 왕계(王系)와 대군왕자(大君王子)·부마·국구(國舅)·종묘의 배향공신과 대신, 역대의 의정 명단이 수록되어 있다. 부록으로 정당고사(政堂故事)·정부관제연혁·검교정승(檢校政丞)·상신미행(相臣未行) 등이 수록되어 있다.
제2책에는 사가독서자의 명단을 기록한 호당고사(湖堂故事)와 1741년(영조 17)까지의 예문관원록인 한원(翰苑)과 한원보유(翰苑補遺)가 수록되었다.
제3책에는 연세문과(連世文科)·연세문괴(連世文魁 : 대대로의 문과의 장원)·연세생진장원(連世生進壯元 : 대대로 생원·진사시의 장원)·연세기사(連世耆社 : 대대로의 기로사가 됨)·연세황각(連世黃閣)·연세문형(連世文衡)·연세청백(連世淸白)·연세호당(連世湖堂)·형제황각·형제호당·형제문과·형제생진장원·급제생시구괴(及第生試俱魁)·급제연방구괴(及第連榜俱魁)·문과회방(文科回榜 : 문과에 급제한 지 60년이 된 사람)·형제동방(兄弟同榜)·문괴(文魁)·이십전과(二十前科)·생진장원(生進壯元)·생원장원(生員壯元)·진사장원(進士壯元)·청백(淸白)이 수록되어 있다.
제4책에는 개국(開國)·정사(定社)·좌명(佐命)·정난(靖難)·좌익(佐翼)·적개(敵愾)·익대(翊戴)·좌리(佐理)·정국(靖國)·정난(定難)·광국(光國)·평난(平難)·호성(扈聖)·선무(宣武)·청난(淸難)·정사(靖社)·진무(振武)·소무(昭武)·영사(寧社)·영국(寧國)·보사(保社)·분무(奮武) 공신 등의 녹훈(錄勳)사유와 등급별 명단이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위사(衛社)·위성(衛聖)공신의 삭훈(削勳)된 경위의 기록과 도원수·부원수·병조판서·훈련대장·금장(禁將)·총수(摠帥)·지훈장(知訓將)·무재(武宰)·문과곤수(文科閫帥)·의병장 등에 관한 사항이 부록으로 수록되어 있다.
조선시대의 왕실·왕실인척·공신 등을 통한 벌열정치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