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성게과주 ()

목차
불교
문헌
조선후기 승려 유문이 의상의 『화엄일승법계도』에 대하여 과단을 나누어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승려 유문이 의상의 『화엄일승법계도』에 대하여 과단을 나누어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내용

1권. 원판본은 없어지고 필사본이 전한다. 칠언삼십구(七言三十句)의 「법성게」를 3단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는데, 제1단은 ‘법성원융무이상(法性圓融無二相)’에서부터 ‘시불보현대인경(十佛普賢大人境)’까지로 자리행(自利行)의 뜻을 밝혔고, 제2단은 ‘능인해인삼매중(能人海印三昧中)’에서 ‘중생수기득이익(衆生隨器得利益)’까지로 이타행(利他行)의 뜻을 밝혔다. 제3단은 ‘시고행자환본제(是故行者還本際)’에서 ‘구래부동명위불(舊來不動名謂佛)’까지로 해탈을 얻는 데 필요한 여러 방편과 그로 말미암아 증득되는 구체적 이익을 보여주고 있다.

과단과 주해에 있어 특별히 독창적인 점은 없으나, 전통적인 「법성게」의 해석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유문과 같은 시대의 성규(性奎)가 증정(證正)하였으며, 근세에 강원의 교재로서 활용된 바 있다. 동국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韓國佛敎撰述文獻總錄)』(불교문화연구소, 동국대학교출판부, 1976)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