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성 ()

목차
관련 정보
김제 벽성서원 정측면
김제 벽성서원 정측면
인문지리
지명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김제 지역의 옛 지명.
이칭
이칭
벽골군(壁骨郡), 벽골군(壁骨郡), 김제군(金堤郡)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김제 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삼한시대에 마한의 가장 큰 부족국인 벽비리국(辟卑離國)이었는데, 백제 때 벽골군(壁骨郡, 또는 辟骨郡) 또는 벽성군(辟城郡)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통일신라 때에 김제군(金堤郡)으로 고쳤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만경(萬頃)과 금구(金溝) 두 현을 합쳐 김제군의 영역을 확정하였다.

벽성의 지명 유래는 4세기 중엽 백제 비류왕 때 완성했다는 벽골지(壁骨池)와 관련이 있다. ‘벽(辟)’은 ‘벼〔禾〕’를 뜻하고 ‘성(城)’은 ‘골(骨: 고을)’과 통하므로 ‘벼의 고장’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곳은 호남평야의 중심부를 차지하기 때문에 일찍부터 벼농사가 발달하였다. 김제를 벽성과 관련시킬 때 가을의 황금들판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으나, 김제가 광복 전까지 남한 제일의 사금(砂金) 채취지역이었던 점으로 보아 ‘금이 나는 곳’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동진강(東津江) 유역을 차지하였던 이 지역은 강 하구에 해창(海倉)이 있어 이곳 물산을 모아 경강(京江)으로 보냈다. 조선시대에는 내재역(內才驛)이 있었고, 전주를 위시하여 호남의 여러 지역과 연결되는 도로가 발달하였다.

참고문헌

『대동지지(大東地志)』
『전래지명(傳來地名)의 연구(硏究)』(유재영, 원광대학교출판국, 1982)
『지방행정지명사(地方行政地名史)』(내무부, 198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