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오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학자, 이문량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학자, 이문량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912년 후손 희조(羲肇)·유용(裕容)에 의하여 수집, 간행되었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이병연(李昺淵)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시 92수, 서(書) 3편, 제문 3편, 권2는 부록으로 묘갈·가장·행장 각 1편, 시 26수, 서(書) 6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권말에 『청암유고(靑巖遺稿)』가 합철되어 있다.

시는 대개 운격이 청고하며 표현이 전아하다. 「봉별송당(奉別松堂)」·「방퇴계답설이귀(訪退溪踏雪而歸)」는 이별의 아쉬움을 잘 표현한 것이며, 「차도산사시유거호운(次陶山四時幽居好韻)」은 도산의 아름다운 경치와 주인의 학문 경지를 잘 대비하여 표현하고 있다.

「여퇴계서(與退溪書)」는 어렸을 때부터 친구인 이황과 주고받은 글이며, 「제퇴계이상공문(祭退溪李相公文)」은 이황(李滉)의 학문 및 국가에 끼친 공적을 높이 평가한 글이다. 이밖에 「제영중(祭瑩中)」·「제황중거(祭黃仲擧)」는 모두 사연이 간곡하고 표현이 섬세하다.

합철한 『청암유고』는 그의 아들 원승(元承)의 유고로, 시 3수, 부록으로 만사·묘갈명·사우시서(師友詩書) 5편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