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재천녀 ()

불교
개념
불법을 유포하며 장수와 원적의 퇴치, 재물의 증익을 도와주는 여신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변재천녀.
이칭
이칭
변재천녀(辨財天女)
목차
정의
불법을 유포하며 장수와 원적의 퇴치, 재물의 증익을 도와주는 여신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변재천녀.
내용

무애(無碍:걸림이 없음)한 행동으로 불법(佛法)을 유포하여 많은 이익을 가져다준다고 믿어진다. 특히 장수(長壽)와 원적(怨敵)의 퇴치, 재물의 증익(增益)을 도와주는 선신(善神)이다. 그 때문에 민간에서는 변재(辨財)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삼국유사』에는 이 천녀에 얽힌 설화 두 편이 있다.

사미(沙彌) 지통(智通)에게 까마귀가 와서 하는 말이 “낭지사(朗智師)에게 가서 제자가 되라.”고 하였다. 낭지사에게도 까마귀가 같은 말을 전하여 두 사람이 만나게 되었는데, 이 산의 주인이 변재선녀(辨才仙女)라고 하였다.

또 고승 연회(緣會)가 『법화경』을 공부하면서 은신하고 지냈는데, 원성왕이 그를 국사로 삼으려 하자 도망가던 중, 이인(異人)을 만난다. 밭가는 노인은 연회를 보고 “여기서도 살만한데 왜 멀리 가는가? 이름을 팔기가 싫지 않은가 보군!” 하고 말한다. 불쾌하게 여기고 자리를 떠난 연회가 한 노파를 만났는데, 그녀는 앞에 만난 노인이 문수대성(文殊大聖)이었다고 가르쳐 준다. 그 노파의 이름을 물어본즉 변재천녀라고 하면서 사라졌다는 것이다.

의의와 평가

이 두 기사를 종합해 볼 때, 우리나라의 변재천녀는 산신령과 같은 성격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불보살(佛菩薩)이 민간신앙과 습합(習合)하면서 토착화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설화이다. 즉, 신심 있는 도속(道俗)의 인연을 맺어주거나 은자(隱者)의 명성을 지키려는 명예욕에 대한 경계의 표식 등으로 나타난다. 산봉우리에 보살의 명칭이 붙여지고, 특정한 나무에 보살의 정령(精靈)이 깃든다는 사고를 통하여 불교의 대중화가 도모되는 한 실례가 될 수 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집필자
정병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