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서문집 ()

목차
관련 정보
병서문집
병서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남석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남석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석인본. 1965년 현손 두채(斗採)와 홍재경(洪在敬)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홍재경과 두채의 발문이 있다. 계명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부(賦) 1편, 시·만사 94수, 권2에 서(書) 27편, 잡저 6편, 제(題) 1편, 권3에 서(序) 5편, 기(記) 7편, 지(識) 8편, 명(銘) 1편, 축문 2편, 뇌문(誄文) 7편, 제문 6편, 행장 1편, 권4는 부록으로 기 5편, 만사 13수, 제문 8편, 유사·행록·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당시 외세의 침략이 거듭되고 사교로 지목된 천주교가 막강한 세력으로 몰려오자, 강개한 심정으로 시대상을 묘사한 작품이 많다. 서(書)는 친지와의 안부편지가 대부분이며, 학문과 시사를 논한 내용도 간혹 있다.

잡저 중 「가산유록(架山遊錄)」은 가산의 고적과 자연경관을 상세히 소개한 글이고, 「건숙시유문(建塾示諭文)」은 서숙을 지으면서 그 동기와 목적을 적고, 그 발전을 기원하는 글이다. 기에는 「병서당기(幷棲堂記)」와 「칠보암기(七寶巖記)」가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원구(도산서원, 한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