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뿌리점 (보리뿌리)

목차
민속·인류
개념
보리뿌리의 성장을 보아 보리수확을 예측하는 농점. 맥근점.
이칭
이칭
맥근점
목차
정의
보리뿌리의 성장을 보아 보리수확을 예측하는 농점. 맥근점.
내용

한자어로는 ‘맥근점(麥根占)’이라고 한다. ≪열양세시기 洌陽歲時記≫에 “농가에서는 입춘에 보리뿌리를 캐어 그 해 농사의 풍흉을 점친다. 그 보리뿌리가 세 가닥 이상이면 풍년이고, 두 가닥이면 평년이고, 한 가닥이면 흉년이 든다.”고 하였다.

입춘의 이러한 농사점의 관습은 지금도 노인들 사이에는 전승되고 있다. 경기도에서는 그 날짜나 점 판단내용이 대개 위와 같고, 전라남도 지방의 조사자료에는 점법내용은 위와 같으나 날짜는 정월초하룻날·대보름·동짓날 등으로 지역과 사람에 따라서 차이가 난다.

제주도에서도 입춘날에 하는데 뿌리가 하나이면 가뭄이 들어 흉년이 들 것이고, 뿌리가 둘이면 비가 알맞게 내려서 풍년이 들 것이며, 셋이면 수재가 있어 흉년이 들 것으로 판단한다. 우리 나라의 보리농사는 북부지방에는 없고, 중부지방에는 매우 적고, 남부지방에 많다. 따라서, 보리뿌리점도 북쪽에는 없고, 중부는 단순하고, 남쪽으로 갈수록 다양해진다.

특히, 제주도의 경우는 논농사가 거의 없고 대부분이 밭농사이므로 많은 강우량이 필요없다. 오히려, 본토에 강우량이 적어 가문듯해야 제주도는 풍년이 든다고 하니, 점 판단법에 그러한 기후조건까지도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보리뿌리점을 대개 입춘에 하는 이유는 24절후의 첫절인 입춘이 한해 농사의 기점이라는 데에서 연유한다. 따라서, 입춘에는 각 지방에서 지내던 농경의례들도 적지 않았다.

참고문헌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전남편-(문화재관리국, 1969)
『남국의 민속』(진성기, 홍인문화사, 1975)
집필자
장주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