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사 ()

목차
구비문학
작품
점을 칠 때 올바른 점괘가 나오라고 비는 말.
이칭
이칭
점복사(占卜辭), 점복축원(占卜祝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점을 칠 때 올바른 점괘가 나오라고 비는 말.
내용

점복사(占卜辭)·점복축원(占卜祝願)이라고도 한다. 무당이나 판수가 점을 칠 때에는 점구(占具)를 사용하는데, 점치는 방법에 따라 「복사」의 내용도 다르게 마련이다.

강신무들이 행하는 신점(神占)은 무당 개인에 따라 「복사」의 내용이 다르며 축원의 형태로 구술되나, 장님이나 판수 등이 행하는 산통점은 대체로 공식적 사설과 상황에 따른 고지사항이 복합되어 구술된다. 산통점을 할 때 「복사」는 점괘를 뽑기 직전에 산통을 흔들면서 구송되고, 「복사」의 구송이 끝나면 바로 점괘를 뽑는다.

「복사」는 채록된 자료가 거의 없으나 판소리계 소설인 「춘향전」에 삽입된 것이 있다. 예를 들어 “금이 태세 경오 월 경사삭 을축일의 지성근복문하온이 복이 천하언재며 지하언재시로 고지즉응하시는이 감이순응하소사······.”와 같은 것이 있다. 이처럼 판수의 「복사」는 먼저 점복일의 일진과 시각을 육갑으로 서술하고, 『주역』의 괘효사의 일부가 삽입되어 한자음에 토를 달아 구술된다. 그 다음에 문복하는 사람의 문복내용을 서술하고 올바른 점괘를 내어달라고 신에게 부탁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그밖에 무당이 신대를 내려서 점을 치는 경우, 신의 신통력을 찬양하는 내용이 점복축원에 포함되기도 하고, 태주[空唱坐]의 경우에는 「복사」 없이 점의 결과를 말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한국가요의 연구』(감동욱, 을유문화사, 196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