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 )

목차
관련 정보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서예
유적
국가유산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에 있는 고려시대 봉선홍경사의 창건 기록을 담은 사적비. 석비.
이칭
이칭
봉선홍경사사적갈비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天安 奉先弘慶寺 碣記碑)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62년 12월 20일 지정)
소재지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대홍리 319-8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에 있는 고려시대 봉선홍경사의 창건 기록을 담은 사적비. 석비.
내용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1026년(현종 17) 건립. 화강암제로서 이수와 귀부를 모두 갖추어 일반 석비(石碑)의 형식을 따르고 있다.

현종이 부왕의 유지를 받들어 홍경사를 조성하였다는 뜻에서 전액(篆額)을 “奉先弘慶寺碣記(봉선홍경사갈기)”라 사명(賜名)하였다. 갈기(碣記: 비석의 기록)에 의하면, 절이 있는 곳에 인적이 끊겨 도적이 많았으므로 이러한 우환을 없애기 위하여 승려를 불러 불법을 전하고자 절을 짓게 되었다고 한다.

현종 7년에 기공하여 6년 여에 걸친 공사로 당전(堂殿) 등 200여 칸을 짓고, 또 절 서쪽에 객관(客館) 80칸을 세워 경연통화원(慶緣通化院)이라 불렀다 한다.

글은 당대의 유명한 유학자 최충(崔沖)이 지었으며, 글씨는 백현례(白玄禮)가 썼다. 글씨는 자경 3㎝의 해서로 용필과 짜임새가 엄정하다. 구양순(歐陽詢)의 「황보탄비(皇甫誕碑)」에 가까우며 고려시대 해서로는 제1급이다.

방비원갈(方碑圓碣: 네모난 비석은 ‘비’라하고 둥근 비석은 ‘갈’이라한다)이라 하여 본래 비와 갈은 구분되었으나 이 홍경사갈은 일반적인 비와 다름없다.

현존하는 사적비를 대표하는 우수한 작품으로 용두화(龍頭化)된 귀두(龜頭)는 오른쪽으로 돌려 생동감을 더하고 있으며 물고기의 지느러미 같은 날개를 머리 양쪽에 장식하였다. 귀갑(龜甲) 중앙에는 앙련과 복련을 새긴 비좌(碑座)를 마련하여 비신을 세웠다. 비신 상단에는 전액이 있으며, 비면 가장자리에는 당초문대(唐草文帶)를 두르고 비신 옆면에는 보상화문(寶相華文)을 조각하였다. 이수에는 도식화된 운룡문을 조각하였다.

참고문헌

『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
『해동금석원(海東金石苑)』『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상
『국보』7-석조-(정영호 편, 예경산업사, 1983)
『한국금석문대계』3(조동원, 원광대학교출판국, 1981)
『朝鮮金石攷』(葛城末治, 東京 國書刊行會, 197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