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외국어대학교 ()

목차
관련 정보
부산외국어대학교 전경
부산외국어대학교 전경
단체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샘로(남산동)에 있는 사립종합대학교.
이칭
이칭
부산외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샘로(남산동)에 있는 사립종합대학교.
연원 및 변천

1981년에 정태성(鄭泰星)이 운영하는 학교법인 성지학원(盛智學園)에서 설립하여 이듬해 3월에 개교하였다. 초대학장에 박화술(朴華述)이 취임하였으며 10개 학과를 설치하였다. 1990년 6월에 중앙도서관을 준공하였으며, 1991년 10월에 종합대학교로 승격하였다.

1991년 서양어학부, 동양어학부, 인문사회학부, 경상학부, 이공학부, 2부학부의 학부제로 개편하였다. 1997년 교육대학원 부설 중등교원연수원 설치 인가받았다. 2008년 직제개편(교육대학원 중등교육원수원→특성화교육기관 교육연수원)과 단과대학 개편(8개대학→6개대학)을 하였다.

현재 인문사회대학, 아시아대학, 유럽미주대학, 글로벌비즈니스대학, 이공대학의 5개 단과대학과 글로벌자율전공학부, 교양교직학부의 2개 학부, 35개 학과로 편성되어 있으며, 대학원은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 국제통상경영대학원, 통역번역대학원, TESOL대학원이 있다.

특성화교육기관으로는 특성화 교육원, 국제언어교육원, 평생교육원, 교육연수원, 한국어문화교육원이 있으며, 부속기관으로는 중앙도서관·정보통신원, 체육부, 언론사, 만오교육문화연구원, 국제지역문화연구센터가 있다.

교훈은 ‘신의·진실·창의’로 되어 있다. ‘도덕성·탐구성·전문성을 겸비한 국제전문인 양성’이 교육 목적으로 세계화된 열린 사고와 현지화 된 행동을 할 수 인재, 다학문적, 다문화적 지식을 겸비하고 세계를 무대로 사업기회를 창출하고 세계를 품는 한국인을 육성하기 위해 교육력을 모으고 있다.

1997년 ‘국제전문인력 양성 국책 대학’으로 지정되었으며 1998년 10월에는 특성화 대학 중 최우수 대학으로 평가되었다. 국제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인 GLE (Globalized & Localized Expert)가 운영되고 있으며 원어민의 체계적인 외국어교육을 통해 외국어 전문가를 양성하는 ILE(International Language Expert)와 교육 수요자가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별도의 과정으로서 영어, 중국어, 일본어를 제 2전공으로 이수할 수 있는 L스쿨(Language school)이 운영되고 있다.

참고문헌

부산외국어대학교(www.bufs.ac.kr)
한국교육개발원 대학알리미(www.academyinfo.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