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만청년총동맹 ()

근대사
단체
1926년 중국 아성현(阿城縣)에서 조직되었던 독립운동단체.
목차
정의
1926년 중국 아성현(阿城縣)에서 조직되었던 독립운동단체.
개설

1920년대 초 청산리전투 등에서 전승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북만 일대에 대한 일본의 대반격으로 인해 대부분의 독립운동단체가 그 기반을 잃고 시베리아 지역으로의 이동을 강요당하였다.

이에 대한 반성으로 이후 독립운동단체간의 통일성을 지향하게 되었다. 이 운동은 1925년에서 1926년 사이에 활발하게 논의되었으며, 공산주의자들도 민족운동상의 주도권 장악을 목적으로 단체를 조직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동지선(東支線)에 있는 조선인청년연합회·동일청년연합회(東一靑年聯合會)·아성청년회 외 5개 단체가 연합해 1926년 5월 10일 이 단체를 창립하게 되었다.

기능과 역할

준비위원으로 김동식(金東植)·이한산(李漢山)·박석홍(朴錫弘)·강화인(姜化仁)·최동욱(崔東旭)·손효준(孫孝俊)·주동진(朱東鎭), 상무위원으로 주동진·김동식·최동욱을 선임하였다.

동시에 ① 계급적·조직적 단결과 청년운동의 통일을 촉성하고 혁명전선에 참가해 군중의 훈련·교양을 행할 것, ② 모순된 현사회를 타파하고 합리적 사회를 건설할 것, ③ 조선민족의 해방과 혁명 수행을 기약할 것 등의 강령 아래 국내의 화요회계(火曜會系) 공산주의자와 제휴하였다.

그 뒤 주요 간부의 이탈로 본거지를 영고탑(寧古塔)으로 옮기고 어렵게 명맥을 유지, 재중국한인의 총괄 기관이라 자칭하는 재중국한인청년동맹에도 가맹하였다. 이 때 1928년 5월 중순 정의부(正義府) 중심의 시사연구회(時事硏究會)에서 민족유일당조직촉성회를 개최하였다.

그러자 이 단체에서도 간부 황기찬(黃基贊)·이명도(李明道)를 파견해 개인 본위의 유일당조직을 주장하는 촉성회파를 지지하였다. 그러나 이 회는 중앙집권제가 아니기 때문에 유일당의 조직이 불가능하다며 탈퇴하였다.

그리고는 송강(淞江)·동만(東滿)·남만·합장(哈長)·여족공의회(麗族共議會) 등 7개 단체와 민족유일당촉성조직동맹이라는 별개 단체를 조직하였다. 그 뒤 중앙집행위원장 김유성(金有聲)과 경상북도 영천 출신 김은한(金殷漢) 외에 간부 1인을 중심으로 세포단체 18맹원 300명으로 하여 북만주의 유력한 단체로 성장하였다. 기관지로 『농군(農軍(』을 간행하였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 6(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5)
『독립운동사』 5(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4(국사편찬위원회, 1968)
「재만항일독립운동단체(在滿抗日獨立運動團體)의 전민족유일당운동(全民族唯一黨運動)」(정원옥, 『백산학보(白山學報)』 19, 1975)
『高等警察要史』(慶尙北道警察部, 1934)
집필자
정원옥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