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고려시대의 전농시(典農寺) 혹은 사농시를 계승한 것으로 1392년 조선의 개국과 함께 그대로 존치된 것이다.
관원으로는 판사(判事) 2원, 경(卿) 2원, 소경(少卿) 2원, 승(丞) 1원 및 겸승(兼丞) 1원, 주부(主簿) 1원, 직장(直長) 2원을 두었다. 1401년(태종 1)에 전농시로 개칭하고 영(令)·부령(副令)·정(正)·부정(副正)을 더 두었다가, 1414년에 영과 정을 윤(尹)으로, 부령·부정을 소윤(少尹)으로 각각 고쳤다.
그러나 세조 때 관제를 재편하면서 봉상시(奉常寺)에 병합되었고 그 관원들은 모두 해산되었다. 따라서 사농시의 업무는 전부 봉상시에 이관되었는데, 동·서 적전의 관리를 위해서 낭관(郎官) 2인이 특별히 배정되었다. 봉상시내에서 종전의 사농시의 업무담당부서를 특히 분봉상시(分奉常寺)라고 불러 구별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분봉상시의 1년예산으로 쌀 132석이 선혜청(宣惠廳)에서 지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