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대사총섭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후기 사고(史庫)와 선원각(璿源閣)을 지키기 위해 부근의 사찰 주지(住持)에게 수호하게 하고 내린 칭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 사고(史庫)와 선원각(璿源閣)을 지키기 위해 부근의 사찰 주지(住持)에게 수호하게 하고 내린 칭호.
내용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중요한 역사기록과 전적이 불타자 병화(兵火)가 미치지 못하는 깊은 산지에 사고를 옮기고 이를 지키는 데 부근의 승려들을 동원하게 되었다.

이는 임진왜란 때 전주사고(全州史庫)의 실록을 영변 묘향산에 있는 보현사(普賢寺)에 보관하고 지키게 하였던 데서 비롯되었고, 그 뒤 사고가 있었던 태백산사고는 각화사(覺華寺), 적상산사고는 안국사(安國寺), 정족산사고는 전등사(傳燈寺), 오대산사고는 월정사(月精寺)로 하여금 수호를 맡게 하고, 그곳의 주지를 총섭으로 삼아 위전(位田)을 주어 경제적 지원을 하였다.

사고는 참봉이 수복군(守僕軍)을 거느리고 관리·수호를 맡으며, 한편으로는 총섭을 두어 승군을 거느리고 지키게 하는 이중조직으로 보호되었는데, 사고마다 시기에 따라 지키는 인원이 달랐다.

적상산사고의 경우 안국사의 주지가 총섭이 되어 대장(代將)·화상(和尙) 각 1인씩과 승군 24인이 있었던 기록이 있고, 오대산·정족산사고에는 각각 승군 20인·50인이 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들 승군의 최고지휘·감독자가 총섭이었다. → 총섭

참고문헌

『조선사찰사료(朝鮮寺刹史料)』
『적성지(赤城誌)』
『강화부읍지(江華府邑誌)』
「조선조사고(朝鮮朝史庫)의 장서관리(藏書管理)」(배현숙, 『규장각(奎章閣)』2, 1978)
「조선조사고(朝鮮朝史庫)의 장서관리(藏書管理)」(배현숙, 『규장각(奎章閣)』2, 1978)
「태백산사고(太白山史庫)의 연혁(沿革)과 사고지현황(史庫址現況)」(강영철, 『사고지조사보고서(史庫址調査報告書)』, 1986)
「적상산사고(赤裳山史庫)의 연혁(沿革)과 사고지현황(史庫址現況)」(신재홍, 『사고지조사보고서(史庫址調査報告書)』, 1986)
「오대산사고(五臺山史庫)의 연혁(沿革)과 사고지현황(史庫址現況)」(김용곤, 『사고지조사보고서(史庫址調査報告書)』, 1986)
「강화사고(江華史庫)의 연혁(沿革)과 사고지현황(史庫址現況)」(정태헌, 『사고지조사보고서(史庫址調査報告書)』, 198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