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원제처제액첩 ()

목차
관련 정보
사원제처제액첩
사원제처제액첩
서예
문헌
사원 · 서원 · 누각 · 정자 등의 편액(扁額) 글씨를 탁본하여 엮은 서첩.
목차
정의
사원 · 서원 · 누각 · 정자 등의 편액(扁額) 글씨를 탁본하여 엮은 서첩.
내용

편자 미상. 모두 9개의 편액글씨로 22절(折) 22면(面)에 세로 14.2㎝, 가로 34.4㎝.

백운루(白雲樓)·민충사(愍忠祠)·금강정(錦江亭)·배견루(拜鵑樓)·창절사(彰節祠)·창절서원(彰節書院)은 1791년(정조 15) 윤사국(尹師國)이 쓴 것이며, 나머지 육신사(六身祠)·상의재(尙義齋)·구인재(求仁齋)는 1791년 박기정(朴基正)이 쓴 것이다.

윤사국의 글씨는 천부적이어서 청고함을 느낄 수 있는데, 편액의 세필(細筆)은 대자(大字)를 능가하는 뛰어난 솜씨이다. 대자에서는 편액의 중요성을 충분하게 표현하고자 장엄하고 웅장한 기상이 표출되어 있으며, 소자에서는 대자의 부속적 차원에서 섬세하게 표현되어 있다.

각지에 흩어진 편액의 모음집은 영조 때부터 숭상하게 되었는데, 방대한 지역의 편액상황이 한눈에 파악될 수 있도록 제첩(製帖)되었다는 점과, 제액에 쓰이는 큰 글씨의 면모를 엿볼 수 있는 자료로서 중요하다.

참고문헌

『서형태미비교연구(書形態美比較硏究)』(정충락, 미술문화원, 1987)
『서예술학(書藝術學)』(정충락, 미술문화원, 1984)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