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인 ()

목차
고대사
제도
신라시대의 관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신라시대의 관직.
내용

궁중에서 국왕 혹은 동궁(東宮)을 받드는 일종의 근시직(近侍職)으로 ≪삼국유사≫와 금석문(金石文)에는 흔히 내양자(內養者)로 표기되기도 하였다. 진흥왕순수비 중 황초령비(黃草嶺碑)와 마운령비(磨雲嶺碑)에 보이는 이내종인(裏內從人)은 이와 같은 성격의 것으로 짐작된다. 사인제도는 비교적 일찍부터 있었던 듯하다. 법흥왕 때 순교한 이차돈(異次頓)도 바로 사인출신이었다.

그 뒤 진평왕 때에는 사인직이 지위의 높고 낮음에 따라서 상사인(上舍人)·하사인(下舍人)으로 분화되었으며, 역시 사량궁(沙梁宮) 같은 데도 사인을 두었다. 신라통일기에는 중국제도의 영향을 받아 동궁 관속의 하나로서 중사인(中舍人)을 두었는데, 경문왕 때의 명필 요극일(姚克一)은 바로 이 중사인을 역임한 바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삼국유사』
「흥녕사증효대사탑비문(興寧寺證曉大師塔碑文)」
「대안사적인선사탑비문(大安寺寂忍禪師塔碑文)」
「나말려초 근시기구와 문한기구의 확장-중세적 측근정치의 지향-」(이기동, 『역사학보』 77, 1978:『신라 골품제사회와 화랑도』, 일조각,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