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녕 ()

목차
관련 정보
대동여지도 / 연천, 적성, 포천, 마전, 삭령
대동여지도 / 연천, 적성, 포천, 마전, 삭령
인문지리
지명
경기도 연천과 강원도 철원 지역의 옛 지명.
이칭
이칭
소읍두현(所邑豆縣), 삭읍(朔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연천과 강원도 철원 지역의 옛 지명.
내용

고려 때의 삭녕현과 승령현(僧嶺縣)을 합한 지역이다. 삭녕현은 본래 고구려의 소읍두현(所邑豆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삭읍(朔邑)이라 고쳐 토산군(兎山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 때 지금의 이름인 삭녕이라 고쳤고, 1018년(현종 9) 이웃 승령현과 함께 동주(東州: 지금의 철원군)에 예속시켰다.

승령현은 본래 고구려의 승량현(僧梁縣, 또는 非勿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동량(㠉梁)으로 고쳐 철성군(鐵城郡: 지금의 철원군)의 영현이 되었다가 고려 때에 들어와서 승령현으로 고쳤다. 1106년(예종 1) 비로소 승령현에 감무를 두어 삭녕현과 겸임시켰다.

조선시대는 삭녕현이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외향(外鄕)이라 하여 1403년(태종 3) 승격시켜 지군사(知郡事)를 두고 승령현을 합병시켰다. 1414년 안협현(安峽縣)을 합쳐 안삭군(安朔郡)을 만들었으나 2년 뒤 다시 분리시켜 삭녕현으로 복구하였다.

1895년(고종 32) 군(郡)으로 승격하여 개성부(開城府) 관할에 있었으나 다음해 경기도에 이속시켰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내문(乃文) · 인목(寅目) · 마장(馬場)의 3면(面)을 강원도 철원군에 편입시키고 이 밖의 지역은 경기도 연천군에 편입시켰다.

조선시대는 삭녕이 임진강의 지류인 우화강(羽化江)변의 산간분지에 자리잡고 있어 장현(場峴)을 넘어 안협(安峽)과, 우화정진(羽化亭津)을 건너 마전(麻田) · 적성(積城)과 연결되었다. 서쪽으로는 석현(席峴) · 동점(東岾)을 지나 토산(兎山)과, 동쪽으로는 갈마현(渴馬峴)을 통하여 철원과 연결되었다. 당시는 임진왜란 때 전사한 심대(沈垈) · 윤경원(尹敬元) 등을 모신 표절사(表節祠)가 있었다.

참고문헌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지방행정구역발전사(地方行政區域發展史)』(내무부, 1979)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