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촌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김재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3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김재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활자본. 1913년 아들 영석(榮錫)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의 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173수, 부(賦) 2편, 권3에 서(書) 49편, 권4에 잡저 9편, 권5에 서(序) 8편, 기(記) 12편, 권6에 지(識) 9편, 상량문 2편, 제축문(祭祝文) 6편, 유사 2편, 부록으로 유사·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영물(詠物)·서경(敍景)·서정(抒情)이 많다. 「촌원(村園)」·「전가사(田家詞)」·「목우사(牧牛詞)」·「이월농가즉사(二月農家卽事)」 등은 농촌의 생활을 읊은 서정시이고, 「관어(觀魚)」·「양류(楊柳)」·「산촌팔영(山村八詠)」 등은 영물·서경시이다.

서(書)는 대개 학문의 대방(大方)과 『예기』나 절문(節文) 등에 관하여 문답한 것들이다. 부(賦)의 「동도회고부(東都懷古賦)」는 경주를 찾아 역사적 감회를 읊은 것이다.

잡저 중의 「하도문답(河圖問答)」·「역상수시도변(曆象授時圖辨)」·「사중중성도변(四仲中星圖辨)」 등은 천문·역수에 관한 이론을 깊이 있게 다룬 것들이다. 그밖에 「역대전폐이병설(歷代錢幣利病說)」은 화폐의 공과를 도덕적 관점에서 논설한 것으로 흥미롭다.

집필자
서지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