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실총 ()

목차
관련 정보
집안 삼실총
집안 삼실총
선사문화
유적
중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集安市) 여산(如山) 남쪽 기슭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행렬도 · 공성도 관련 벽화무덤. 횡혈식석실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중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集安市) 여산(如山) 남쪽 기슭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행렬도 · 공성도 관련 벽화무덤. 횡혈식석실분.
개설

고분의 봉토는 평면이 원형이고, 무덤의 구조는 특이해 가느다란 긴 널길이 서남향으로 달린 방형의 제1실과 통로에 의해 연결된 구형의 제2·3실로 이루어진 세칸무덤〔三室墳〕이다. 이러한 구조 형식의 고분은 삼국시대의 고분 중 유일한 것이다.

내용

각 널방의 네 벽은 수직으로 돌을 쌓았고 천장 가구는 궁륭평행삼각굄천장〔穹窿平行三角天障〕이다. 거칠게 다듬은 석재를 사용했기 때문에 천장 가구의 축조는 다소 불규칙하다.

벽화의 내용은 인물풍속도 및 사신도이나 벽면 회칠의 박락이 심해 그 전부를 알아보기는 어렵다. 널길의 인물·성좌도는 파손이 심해 식별하기 곤란하다. 제1실에는 네 모서리에 기둥과 두공을 그렸고, 동벽에는 행렬도, 북벽에는 공성도(攻城圖)가 남아 있다. 또 천장에는 여러 가지 크고 작은 둥근 무늬의 흔적이 10여 개 남아 있는데 성좌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제2실과 제3실의 네 벽 모서리에도 제1실에서와 같이 기둥과 두공이 그려져 있고, 두 널방을 연결하는 통로에 의해 벽면이 좁아진 두 벽, 즉 제2실의 서벽과 제3실의 동벽을 제외한 각 벽을 채운 그림은 힘을 다해 두 팔로 창방을 받들고 있는 역사상(力士像)이다.

그리고 제2실의 서벽에는 갑주무사상(甲胄武士像)이 그려져 있으며, 제3실의 동벽에는 장사상(壯士像)이 그려져 있다. 천장에는 사신·연꽃무늬·당초무늬·봉황·쌍봉·기린·이상한 짐승·비천·신선·해·달·북두칠성 등이 그려져 있다. 제2실과 제3실의 벽화는 거의 같다.

이 고분의 벽화 중에 공성도에서 보이는 개마무사상(鎧馬武士像)과 제2실의 서벽에 그려져 있는 갑주무사상 등에서 당시 무사의 무구를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韓國)의 벽화고분(壁畵古墳)』(김기웅, 동화출판공사, 1982)
『通溝』 下(池內宏·梅原末治, 1940)
집필자
김기웅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