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인집 ()

목차
관련 정보
삼인집
삼인집
현대문학
문헌
1952년 설창수 · 이경순 · 조진대 등 3인의 시 · 희곡 · 소설 등의 작품을 수록한 시선집. 사화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52년 설창수 · 이경순 · 조진대 등 3인의 시 · 희곡 · 소설 등의 작품을 수록한 시선집. 사화집.
개설

A5판. 196면. 1952년 영남문학회(嶺南文學會)에서 간행하였다.

내용

먼저 이경순의 시집인 ‘생명부(生命賦)’에는 「로만스」·「장미먹은 사형수」 등 15편의 시가 실려 있다.

“코발트빛 곱게 물든 하늘에/솔개와 백사(白蛇)는 S자형을 그리면서·구름 속으로 들어갔다.//오렌지 문채(紋彩)로 아로새긴 바다/보름달이 젖었는데/조개 입술에 키쓰가 끝난/메루치 혀를 주고 망명(亡命)했다.”라는 시 「로만스」의 한 구절에서 보듯이, 주로 낭만적인 서정을 모더니즘풍의 감각으로 노래하는 경향을 지닌다.

설창수의 ‘개폐교(開閉橋)’에는 「개폐교」 등 15편의 시와 함께 1막 2장으로 된 희곡 「혼백(魂魄)」이 수록되어 있다. “짓밟음 바람비 수레바퀴 춤뱉음을/오랜 동안 참아 온 내다/내 등들미의 살결은 메마르고/뼈 힘줄 주름살 흉터만이 남아 있다/디데 보라 내 껍질은 따글거린다.”라는 시 「개폐교」의 첫 연에서 보듯이, 서정성과 상징성을 결합하는 데 그의 시의 한 특징이 드러난다.

의의와 평가

조진대의 창작집인 ‘별빛과 더불어’에는 단편소설 「별빛과 더불어」·「남이와 닭」·「육이오(六二五)」·「곡(哭)」·「몽점(夢占)」 등 다섯 편이 실려 있다. 이 소설들은 대체로 고달픈 현실 생활에서 느끼는 생명 의지를 묘사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고 보면 이 책은 전체적으로 30편의 시와 1편의 희곡, 5편의 소설 및 발문이 붙어 있는 종합 작품집의 성격을 지닌다고 하겠다.

한 가지 주목할 것은 여기에 유치환(柳致環)의 ‘후기’가 실려 있는 점이다. “소위 중앙의 세 푼어치 안 되는 명욕(名慾)을 탐해서 파벌을 짜며 악착히 서로 포폄(褒貶)하여 영일(寧日)이 없는 그 테두리를 멀리 떠나서 오직 자자불권(孜孜佛倦) 보람됨은 자기의 예술도(藝術道)들을 닦고 있는 몇몇 벗들을 만날 수 있다.”라고 유치환이 쓴 것처럼, 이 『삼인집』은 중앙 문단으로부터 떨어져서 묵묵히 창작에 전념하고 있는 세 지역 문인들의 신선한 의욕과 문학적 지향점을 잘 드러내주고 있다고 하겠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