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작노리개 (노리개)

목차
관련 정보
삼작노리개
삼작노리개
의생활
물품
세 개의 노리개가 한 벌이 되게 만든 노리개.
목차
정의
세 개의 노리개가 한 벌이 되게 만든 노리개.
내용

금·은·옥석·보패의 진귀함과 크기·규모에 따라서 대삼작노리개·중삼작노리개·소삼작노리개로 구분된다. 또, 재료 및 형태에 따라 구분되기도 한다.

즉, 세 개가 형태는 다를지라도 재료가 같을 때는 그 재료에 따라 금삼작·은삼작·옥삼작·비취삼작·자마노삼작·밀화삼작 등으로 불렀고, 세개의 재료가 다르다 하더라도 형태가 같은 경우는 그 형태에 따라 호로병삼작·투호삼작·박쥐삼작·동자삼작 등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대삼작노리개는 가장 호화롭고 큰 것으로 주로 궁중에서 사용되었다고 하며, 왕비만이 사용할 수 있었다는 삼천주노리개는 불교에서 말하는 삼천대천세계를 상징하는 것으로, 매우 큰 진주를 세 개씩 꿰었다고 한다.

중삼작노리개는 궁중이나 상류계급에서 패용하였으며 소삼작노리개는 젊은 부녀나 어린이들이 패용하였다. 또, 계절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어 『사절복색자장요람(四節服色自藏要覽)』에 의하면 가을에는 옥이나 구슬로 만든 삼작노리개를 찼다.

겨울에는 자마노·밀화 등의 삼작노리개를 패용하였다. 추석 이후 색옷을 입을 때는 각기 빛깔이 다른 삼작노리개를 찼다.

참고문헌

『한국화장문화사(韓國化粧文化史)』(전완길, 열화당, 1987)
『한국복식사연구』(유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미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