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군읍지 ()

목차
관련 정보
삼척군읍지
삼척군읍지
인문지리
문헌
강원도 삼척군(현 삼척시)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읍지.
이칭
이칭
강원도삼척군읍지(江原道三陟郡邑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도 삼척군(현 삼척시)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읍지.
내용

1책. 사본. 표지에는 ‘江原道三陟郡邑誌(강원도삼척군읍지)’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편찬연대 미상의 『삼척부읍지(三陟府邑誌)』와 1662년에 편찬된 『척주지(陟州誌)』가 규장각 도서에 있고, 1899년에 편찬된 『삼척군읍지』가 장서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방리(坊里) · 도로(道路) · 건치연혁(建置沿革) · 군명(郡名) · 형승(形勝) · 성지(城池) · 관직(官職) · 산천(山川) · 성씨(姓氏) · 풍속(風俗) · 능묘(陵墓) · 단묘(壇廟) · 공해(公廨) · 제언(堤堰) · 창고(倉庫) · 교량(橋梁) · 수전(水田) · 한전(旱田) · 인물(人物) · 진보(鎭堡) · 고적(古蹟) · 사찰(寺刹) · 누정(樓亭) · 봉수(烽燧) · 관애(關阨) · 목장(牧場) · 역원(驛院) · 군병(軍兵) · 경장후결호환곡총수(更張後結戶還穀摠數) 등으로 되어 있다.

특기할 사항은 방리조에서 삼척군 관할의 면과 면 관할의 동리 이름을 열거하였다. 산천조에는 황장봉산(黃腸封山)으로 지정한 황지산(黃池山) · 소달산(所達山) · 마읍산(麻邑山) · 궁방산(宮方山) · 가곡산(可谷山) 등이 좋은 소나무의 부등목(不等木: 아름드리 나무) 산지였음을 알게 한다.

능묘조에는 목조(穆祖)의 아버지와 그 비(妣)의 무덤이 있음을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갑오경장 후의 결총(結摠) · 호총(戶摠) · 환총(還摠)의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고적조에는 허목(許穆)이 지은 「동해비문(東海碑文)」이 실려 있고, 누정조에는 죽서루의 유래와 정경이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참고문헌

『관동읍지(關東邑誌)』
『삼척부읍지(三陟府邑誌)』
『삼척군읍지(三陟郡邑誌)』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