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한금석록 ()

목차
서예
문헌
조선후기 역관 · 서화가 오경석이 우리나라의 금석문을 모아 판독하고 고증하여 1858년에 편찬한 고증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역관 · 서화가 오경석이 우리나라의 금석문을 모아 판독하고 고증하여 1858년에 편찬한 고증서.
내용

1858년(철종 9)에 간행되었으며, 내용은 서문·범례·금석목록·본문 순이다. 서문은 청나라의 하추도(何秋濤)가 썼으며 금석목록은 삼국(三國) 35종, 고려 112종이다.

목록의 수는 147종이나 실제 본문에는 고구려고성각자(高句麗古城刻字)를 포함하여 8종만 실려 있다. 오경석은 우리나라 금석문의 정리가 미비함을 깨달아, 이를 판독하고 고증을 더하여 실사구시의 실학정신을 금석학에 응결시키고자 하였다.

비록, 『삼한금석록』이 완성본은 아니나 이러한 그의 노력을 나타낸 계획서라 하겠다. 이 책은 송나라 홍괄(洪适)이 한비(漢碑) 189종을 정리한 『예석(隷釋)』의 정리방법을 따랐는데, 특히 금석문의 행(行)을 구분하고 불확실한 글자는 편방(偏傍)이라도 수록하며, 이전의 기록들과 자신의 견해를 덧붙인 점은 돋보인다.

그의 아들 세창(世昌)의 위창문고(葦滄文庫)에 소장되어왔던 것으로 오경석의 친필본이 아닌가 한다.

참고문헌

『죽재차록(竹齋箚錄)』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