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시의 업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왕도에 설치되었다. 695년(효소왕 4) 남시전(南市典)과 더불어 설치되었다. 소속관원으로는 감(監)·대사(大舍)·서생(書生)·사(史)가 있었다. 감은 정원이 2인이고, 대사도 역시 2인이었는데, 경덕왕대에 주사(主事)로 개칭되었다가 혜공왕대에 대사로 복구되었으며, 서생은 정원이 2인으로 경덕왕대에 사직(司直)으로 바뀌었다가 혜공왕대에 서생으로 복구되었다. 사는 정원이 4인이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世
인간 세
부수 一 / 총획 5
宗
마루 종
부수 宀 / 총획 8
abcd
abcd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
공공누리의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미디어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서비스에만 활용하도록 허가받은 자료로서, 미디어 자유이용(다운로드)은 불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