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연강의 ()

목차
관련 정보
서연강의
서연강의
유교
문헌
조선후기 문신 조정세가 장헌세자의 서연에서 시강한 내용을 수록한 강론집.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조정세가 장헌세자의 서연에서 시강한 내용을 수록한 강론집.
내용

불분권 1책. 필사본. 1789년(정조 13)에 편집되었다. 권말에 편자인 조정세의 후지가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후지에 따르면, 이 책은 1751년(영조 27) 12월 편자가 익위사부수가 되면서부터 그 뒤 약 5년간에 걸쳐 세자에게 시강한 내용을 기록해 두었으나, 화재로 인하여 불타 없어지고 남은 일부를 정리하여 다시 기록하였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이 책은 1751년 12월 28일 편자가 익위사부수에 임명된 기사로 시작된다. 편자는 선릉참봉(宣陵參奉)에서 선공부봉사(繕工副奉事)로 승진된 뒤 익위사부수에 전임된 것으로 되어 있다.

서연에서 시강한 기사를 싣는 데 있어서는 먼저 날짜를 쓰고, 서연에 참가한 사람의 직함·성명 등을 기록하고, 이어 강의내용을 문답식으로 소상하게 기록하였다. 강의 내용은 『서전(書傳)』·『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소학』 등에 수록된 일부 등으로 되어 있다.

장헌세자가 질문한 대목은 ‘영왈(令曰)’로 시작되며, 이 질문에 답한 강관(講官)은 여러 사람이나 이 책에는 편자가 대답한 내용만을 기록하고 있다. 문답내용 중에는 장헌세자의 일반적인 관심사에 대한 것도 보인다.

그 중 주목되는 것은 우리나라의 명유(名儒)로 누구를 들 수 있겠느냐 하는 것이 있는데, 이에 대하여 편자인 조정세는 이이(李珥)·김장생(金長生)·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 등을 부각시켜 대답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가 속했던 당파적 소재를 짐작하게 한다.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