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대학교 (서울)

목차
관련 정보
단체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에 있는 공립 종합대학교.
이칭
이칭
서울시립대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에 있는 공립 종합대학교.
연원 및 변천

1918년 5월 1일 경성공립농업학교(京城公立農業學校)로 개교하였다. 1950년 6월 2년제 서울농업초급대학으로 설립인가 되어 1954년이휘재(李徽載)가 초대 학장에 취임하였다. 1956년 3월 4년제 서울농업대학으로 승격되어 입학정원 180명에 원예학과·수의학과·농공학과·양잠학과를 두었다.

1958년 농업경영학과를 신설하고 4년제 대학 제1회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1973년 12월 서울산업대학으로 개편하여 도시행정학과·도시공학과·위생공학과를 신설하고, 수의학과·농공학과·농업경영학과를 폐지하였다. 1974년 건축공학과·건축공학과(야간)·산업경영학과(야간)·행정학과(야간)를 신설하고, 원예학과를 조경학과로 개편하였으며, 잠사학과를 폐지하였다.

1975년 1월 설립자가 서울시교육위원회에서 서울시로 변경되었고, 화학공학과를 신설하였다. 1978년 전자공학과(야간)·회계학과(야간)·무역학과(야간), 1979년 영어영문학과(야간), 1980년 경제학과·법학과를 신설하였다.

1980년 11월 대학원 석사과정을 설치하였으며, 1981년 9월 법정학부·경상학부·공학부·문리학부 4개 학부에 14개 학과로 편성하였다. 같은 해 10월 서울시립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고, 도시행정대학원을 설치하였다. 1982년 환경원예학과·산업미술학과·전산통계학과·음악학과, 1983년 도시계획학과·세무학과(야간)를 신설하고, 1983년 10월 대학원 박사과정을 설치하였다.

1987년 3월 종합대학으로 개편되어 서울시립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96년 도서과학대학, 1999년 예술대학, 2000년 세무대학원·도시과학대학원·교육대학원, 2001년 생활체육정보학과, 2003년 디지털미디어대학, 2004년 디자인전문대학원을 신설하였고, 산학협력단을 설립하였다.

2005년 환경정책 연구 및 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환경부 지정 서울지역환경기술센터를 유치하였고, 국제교육원·생활관을 신설하였다. 2007년에는 서울대학교·명지대학교와 함께 국내 최초로 ‘국제건축학 교육인증’ 최우수 등급을 획득하였다. 2009년 법학전문대학원을 개원하였으며, 2010년 강촌수련원을 개원하였다. 2012년 국제도시과학대학원을 개원하였으며, 2016년 자유융합대학 및 평생교육원을 신설하였다. 2018년 도시보건대학원을 개원하였으며, 개교 100주년을 맞이하였다.

현황

2018년 기준 10개 대학원, 8개 단과대학(학부 9, 학과 28)을 운영하고 있으며, 재학생은 1만 2439명, 전임교원은 429명이고, 총 5만 675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부속기관으로 중앙도서관·박물관·생활관·국제교육원 등이 있고, 부설연구기관에 산업경영연구소·사회과학연구소·법학연구소·서울학연구소·도시과학연구원 등이 있다.

교훈은 ‘진리·창조·봉사’이다. 서울특별시가 운영하는 유일한 4년제 공립대학으로 학술이론의 연구·교수와 도시사회가 요구하는 지도적 인재의 육성을 교육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도시학 분야로의 특성화에 역점을 두고 있다.

국제교류는 54개국 298개교와 교류협정을 맺고 학생교환 프로그램 운영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다. 또한 국제교환학생프로그램(ISEP) 회원교로서 약 300여개 ISEP 회원교와 학생교환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하다. 해외대학과의 협정에 의거해 연간 약 500명의 학생을 해외에 파견하고 있으며, 연간 500여 명의 외국인 학생들이 서울시립대에서 교환학생 자격으로 수학한다. 해외대학과의 교류협정을 기반으로 학생교환뿐만 아니라 학과 및 교수 간 학술교류 또한 적극 지원하고 있다.

47개 동아리가 활동하고 있고, 매년 5월 대학축제인 대동제, 10월 동아리축제인 인향제와 전농문화체전을 열고 있다. 1964년 창간된 대학신문 『시립농대학보』를 이후 『서울시립대신문』로 제호를 바꾸어 발간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고등교육연구』(김기석, 교육과학사, 2008)
『서울시립대학교 90년사』(서울시립대학교구십년사편찬위원회, 2008)
서울시립대학교(www.uos.ac.kr)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