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하집 ()

목차
관련 정보
서하집(권7) / 소차
서하집(권7) / 소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이민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61년경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민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61년경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7권 8책. 목판본. 간기(刊記)가 신사(辛巳)로 되어 있고, 정조의 장서인(藏書印)인 홍재인(弘齋印)이 찍혀 있는 것으로 보아 1761년(영조 37)에 간행된 것 같다. 서문과 발문은 없다. 장서각 도서와 규장각 도서에 있으며, 규장각 도서본은 17권 9책으로 되어 있다.

권1∼5에 사(辭) 2편, 부(賦) 7편, 시 396수, 악장(樂章) 1편, 권6∼10에 소차(疏箚) 24편, 계(啓) 4편, 전(箋) 5편, 책문(冊文) 4편, 권11∼14에 교서 11편, 비답(批答) 2편, 제문 36편, 서발(序跋) 26편, 책제(策題) 8편, 상량문(上樑文) 3편, 기(記) 6편, 잡저 6편, 비명 4편, 묘지명 2편, 전(傳) 1편, 권15∼17은 행장 5편, 서독(書牘) 46편, 부록으로 가장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옥당차(玉堂箚)」는 언관(言官)으로 있을 때 자기의 처지를 밝힌 것으로, 서인(西人)들의 입장을 대변하고 있어 당시 당쟁사 연구에 가치가 있다. 「청급재소(請給災疏)」는 재해를 당한 백성들을 구제하기 위해 양곡과 의복을 지급해 달라는 글이다. 당시의 극심한 재해의 현황과 민생의 곤궁상을 잘 표현하고 있다.

「한성부청균방역계(漢城府請均防役啓)」는 당시 서울에 사는 사람들로는 대부분 관리와 사대부들이 많고 노역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이 적어서 막중한 공사를 시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대동법(大同法)과 균역법(均役法)을 시행, 호별로 부역을 균등하게 배분해 백성이 생업을 잃고 부역에 시달리는 일이 없게 해 달라고 청한 글이다.

이밖에도 이순신(李舜臣)의 명량해전(鳴梁海戰)의 대첩을 찬양한 「고통제사이순신명량대첩비(故統制使李舜臣鳴梁大捷碑)」와 의병장 김덕령(金德齡)의 무용을 높이 평가하고 불우한 그의 일생을 대변하는 「김장군전(金將軍傳)」이 있어 임진왜란의 의병사 연구에 가치가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현종에서 숙종 연간의 제반 정치 사정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이며, 한문학 연구에도 필요한 자료가 된다.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