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춘사 ()

고전시가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가사.
구성 및 형식

모두 220구로, 3·4 내지 4·4조가 기조를 이룬다. 『정선조선가곡(精選朝鮮歌曲)』·『교주가곡집(校註歌曲集)』·『고가요집주(古歌謠集註)』·『가사문학전집(歌辭文學全集)』 등에 실려 있는데, 이른바 규방가사로 전해오는 「석춘가」와는 그 내용이 다르다.

내용 및 평가

내용은 봄철이 덧없이 지나감을 안타까워하는 것으로 중국의 미녀들에 관한 옛일들을 섞어서 노래하면서, 임과 떨어져서 외로운 청춘의 우수를 복선법으로 그려낸 것이다. 그 주제는 규방가사의 「상사별곡(相思別曲)」 등과도 상통한 것으로 연정이라 하겠다.

『주해가사문학전집』에 실린 「석춘사」의 첫부분과 끝부분은 다음과 같다. “어화 아깝도다 요지(謠池)에 봄이 간다/이 몸이 다사(多事)하야 철가는 줄 몰랐더니/강잉(强仍)하야 창을 여니 화초가 난만하다/……그리던 이 내 그림 언제나 다 마쳐서/화장금리(華張衾裏)에 그림같이 마조 앉아/그리던 장상사와 태오던 내 간장(肝腸)을/춘절의 빙설같이 다 쓸어버리리라.”

참고문헌

『주해가사문학전집(註解歌辭文學全集)』(김성배·박노춘·이상보·정익섭, 집문당, 196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