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림 ()

목차
인문지리
지명
충청남도 서천(舒川) 지역의 옛 지명.
이칭
이칭
남양군(南陽郡), 서림군(西林郡)
목차
정의
충청남도 서천(舒川) 지역의 옛 지명.
내용

일명 남양군(南陽郡)이라고도 하였으며, 당시에는 북쪽으로 비중현(比衆縣: 지금의 舒川郡 庇仁面)ㆍ대산현(大山縣: 지금의 扶餘郡 鴻山面), 동쪽으로 마산현(馬山縣: 지금의 舒川郡 馬山面)ㆍ마서량현(馬西良縣) 등과 인접하여 있었다.

757년(경덕왕 16) 서림군(西林郡)으로 고쳤고, 1018년(현종 9) 가림현(嘉林縣: 지금의 扶餘郡 林川面)에 이속시켰다가 1314년(충숙왕 1) 지서주사(知西州事)로 승격시켰다. 1413년(태종 13) 지금의 이름인 서천군(舒川郡)이 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서천면으로 고쳤으며, 1979년 읍으로 되었다.

설림의 지명유래는 서림과 같은 뜻을 가지는데 설이 ‘갈〔西〕’의 뜻이고, 림이 ‘리’와 같은 의미를 가지므로 ‘거리’ㆍ‘가리(街里)’의 뜻이 된다. 따라서 설림이란 ‘번성한 도시’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백제시대 설림군의 치소는 영취산(靈鷲山) 남쪽에 있었다. 조선시대까지 이곳에 옛 산성이 있었고, 남쪽에는 두곡역(豆谷驛), 서쪽에는 운은산(雲銀山) 봉수가 있어 군사ㆍ교통상 매우 중요시되던 곳이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한국고대국명지명연구(韓國古代國名地名硏究)』(이병선, 형설출판사, 198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